아세틸콜린 수용체

아세틸콜린 수용체

[ Acetylcholine receptor ]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세포막에 발현된 단백질로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ACh, 그림 1)의 작용을 매개하며, 그 약리학적 성질과 신호전달기전에 따라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muscarinic ACh receptor, mAChR)와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nicotinic ACh receptor, nAChR)로 분류할 수 있다.

목차

분류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nAChR)는 니코틴(nicotine)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리간드 개폐 이온통로(ligand-gated ion channel)이며, 나트륨, 칼륨, 칼슘 이온 등을 비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비선택적 양이온 통로(non-selective cation channel)이다.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발현 부위에 따라 다시 근육형(muscle-type)과 신경형(neuronal-type)으로 나눌 수 있다(표 1). 근육형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운동 신경(motor neuron)과 골격근(skeletal muscle)이 만나는 신경근육접합부(neuromuscular junction)에 발현되어 있으며, 운동 신경에서 분비된 아세틸콜린이 골격근 세포막의 종판전압(end plate potential, EPP)을 유발하는 데 기여한다. 한편, 신경형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자율신경계(autonomic nervous system, ANS)의 말초 신경절(ganglia)에 발현되어 있어 신경절 이전 섬유(preganglionic fiber)에서 분비된 아세틸콜린이 신경절 이후 섬유(postganglionic fiber)를 흥분시키는 데 기여한다.

표 1.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종류 발현 부위 작용 기전 생리적 기능
근육형 신경근육접합부 비선택성 양이온 통로 활성화 골격근 수축
신경형 자율신경계 신경절 자율신경계 신경절 이후 섬유 흥분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mAChR)는 무스카린(muscarine)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G 단백 결합 수용체(G protein-coupled receptor)이며 아형(subtype)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전달기전을 활성화시킨다.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와 말초 장기(peripheral organ)를 포함하여 온 몸에 분포하고 있으며, 주로 부교감신경계(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의 신경절 이후 섬유에서 분비되는 아세틸콜린의 생리적 작용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M1부터 M5까지 서로 다른 다섯 종류가 존재한다(표 2). 이 중 M1, M3, M5는 Gq 단백 의존성 신호전달경로를 활성화시켜 인지질 분해 효소(phospholipase C, PLC), 단백질 인산화 효소(protein kinase C, PKC), 디아실글리세롤(diacylglycerol, DAG) 및 삼인산화 이노시톨(inositol-1,4,5-triphosphate, IP3)이 세포 작용의 기전이 된다. 한편, M2, M4는 Gi/o 단백 의존적인 신호전달경로를 활성화시키며 α subunit은 아데닐산 고리화효소(adenylate cyclase) 활성을 억제하고 βγ subunit은 G 단백 개폐 내향성 칼륨 통로(G protein-gated inwardly rectifying K+ channel, GIRK 통로)를 열거나 전압 의존성 칼슘 통로(voltage-gated Ca2+ channel)를 억제한다. 백일해독소(pertussis toxin)는 Gi/o 단백 의존적인 신호전달경로를 선택적으로 비활성화시키므로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가 M1, M3, M5인지 M2, M4인지 구별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표 2.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종류 신호전달기전 백일해 독소의 효과 효현제 저해제
M1 Gq 영향 없음 아세틸콜린(ACh) 무스카린(muscarine)
옥소트레모린(oxo-M)
카바콜(carbachol)
아트로핀(atropine)
M2 Gi/Go 칼륨(GIRK) 통로 활성화
전압의존성 칼슘통로 활성 억제
활성 억제
M3 Gq 영향 없음
M4 Gi/Go 칼륨(GIRK) 통로 활성화
전압의존성 칼슘통로 활성 억제
활성 억제
M5 Gq 영향 없음

의학적 중요성

국소 마취제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는 큐라레(curare)나 α-분가로톡신(bungarotoxin) 등의 작용에 의해 억제될 수 있으며, 신경근육접합부의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가역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물질들이 일반적으로 국소 마취에 이용된다.

중증근무력증

신경근접합부에 위치한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자가면역항체가 중증근무력증(myasthenia gravis)을 유발할 수 있다.

무스카린성 효과 차단 약물

아트로핀이나 스코폴아민(scopolamine)과 같은 약물로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활성을 저해할 수 있다. 특히, 아트로핀은 프랄리독심(pralidoxine)과 함께 VX와 같은 신경작용제(nerve agent)에 의한 아세틸콜린 독성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선천성 중증근무력증

선천성 중증근무력증(congenital myasthenic syndrome)은 신경근접합부의 여러 결함으로 인해 생기는 유전 증후군이다. 증상은 중증근무력증, 램버트-이튼 증후군(Lambert-Eaton syndrome)과 비슷하나 자가면역질환이 아니라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몇 가지 원인이 있지만 그 중 한 가지가 신경근접합부 종판(end plate)의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유전자 결함으로 이 경우 분비된 아세틸콜린이 골격근 수축을 적절하게 유발할 수 없다.

관련용어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참고문헌

  1. Fundamentals of Anatomy & Physiology by Martini & Nath, (8th ed. 2009)
  2. 생리학 7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