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간드의존성 이온통로

리간드의존성 이온통로

[ Ligand-gated ion channel ]

그림 1. 리간드의존성 이온통로 (출처: 위키피디아, https://commons.wikimedia.org/w/index.php?curid=15522020)

리간드의존성 이온통로(ligand-gated ion channel)는 이온성 수용체(ionotropic receptor)라고도 부르며 수용체가 이온통로인 세포막 단백질이다. 신경전달물질과 같은 리간드가 결합하면 이온통로가 열려서 Na+, K+, Ca2+, Cl- 등의 이온이 세포막 내외로 이동하여 세포막전압(membrane potential)을 변경시켜 효과를 나타낸다(그림 1).

목차

리간드의존성 이온통로의 예

뇌 안에 존재하는 몇 가지 신경전달물질이 아래와 같이 리간드의존성 이온통로를 통하여 그 효과를 나타낸다.

이온성 글루탐산 수용체

이온성 글루탐산 수용체(ionotropic glutamate receptor, iGluR)는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인 글루탐산의 빠른 작용을 매개하는 데 이용된다. 이온성 글루탐산 수용체는 AMPA 수용체(AMPA receptor), NMDA 수용체(NMDA receptor), 그리고 카인산 수용체(kainate receptor)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각 선택적인 효현제와 저해제가 있어 약리학적인 방법으로 수용체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표 1). 이온성 글루탐산 수용체는 비선택성 양이온통로(non-selective cation channel)이며, 전기 생리학 실험 방법을 이용하여 흥분성 시냅스후 전류(excitatory postsynaptic current, EPSC)로 이온통로의 활성을 기록할 수 있다.

표 1. 이온성 글루탐산 수용체
단백질 유전자 선택적 효현제 선택적 저해제
AMPA 수용체 GluA1 GluA2
GluA3
GluA4
Gria1 Gria2
Gria3
Gria4
AMPA CNQX DNQX
NBQX
Kynurenic acid
NMDA 수용체 GluN1 NRL1A
NRL1B
Grin1 Grinl1a
Grinl1b
NMDA AP5 Kynurenic acid
GluN2A GluN2B
GluN2C
GluN2D
Grin2a Grin2b
Grin2c
Grin2d
GluN3A GluN3B Grin3a Grin3b
카인산 수용체 GluK1 GluK2
GluK3
GluK4
GluK5
Grik1 Grik2
Grik3
Grik4
Grik5
Kainic acid CNQX DNQX
Kynurenic acid

가바 A 수용체

가바 A 수용체(GABAA receptor)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가바(GABA)의 빠른 작용을 매개하는 데 이용된다. 가바 A 수용체는 리간드의존성 Cl- 이온통로이다. 가바가 결합하면 생리적인 세포내외의 Cl- 농도 조건 하에서는 가바 A 수용체가 외향 전류(outward current)를 발생시킴으로써 세포막전압을 과분극(hyperpolarization)시키는 데 기여한다. 가바 A 수용체의 활성 역시 전기 생리학 실험 방법으로 기록할 수 있으며, 억제성 시냅스후 전류(inhibitory postsynaptic current, IPSC)로 기록된다. 가바 A 수용체의 선택적 저해제로는 피크로톡신(picrotoxin)이나 비큐큘린(bicuculline)이 주로 이용된다.

세로토닌 3 수용체

세로토닌 3 수용체(serotonin 3 receptor 또는 5-HT3 receptor)는 세로토닌의 여러 수용체 아형 중 유일한 리간드의존성 통로이다(다른 세로토닌 수용체는 대사성 수용체로 G 단백 의존적인 신호전달기전을 활성화시킨다). 세로토닌 3 수용체는 비선택성 양이온통로이며, 세로토닌이 결합하면 내향전류(inward current)를 발생시켜 세포막전압을 탈분극(depolarization)시킨다. 세로토닌 3 수용체의 선택적 효현제로 m-Chlorophenylbiguanide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선택적 저해제로 온단세트론(ondansetron) 등을 이용할 수 있다.

ATP 의존성 이온통로

ATP는 세포막 수용체와 결합하여 그 효과를 나타내기도 하는데, 그 수용체의 종류로 이온통로(P2X 수용체)와 G 단백 결합 수용체(P2Y 수용체)가 있다. ATP 의존성 이온통로는 바로 P2X 수용체의 다른 말로 비선택성 양이온통로이고, ATP에 의한 세포막 흥분성 증가에 기여한다. 수라민(suramin)을 ATP 의존성 이온통로의 선택적 저해제로 이용할 수 있다.

임상 적용

마취제

리간드의존성 이온통로는 마취제와 에탄올 등의 주요한 표적이 된다. 특히, 가바 A 수용체와 NMDA 수용체가 임상에서 사용하는 마취제 농도에서 영향을 받는다.

중독의 치료

코카인, 헤로인, 알콜 등의 중독을 치료하는 데 가바 A 수용체를 표적으로 하는 것이 의미가 있음이 최근 연구 결과로부터 알려졌다.

관련 용어

이온성 수용체(ionotropic receptor)

참고 문헌

  1. Cellular and molecular neurophysiology, 4th edition, 2015
  2. Ion channels of excitable membranes 3rd edition, Bertil Hille,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