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특성이론

직무특성이론

[ Job Characteristics Theory , 職務特性理論 ]

요약 산업심리학 용어로, 직무가 가지고 있는 특성이 개인의 내적 심리상태에 영향을 주어 생산성, 직무 성과 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이다.

핵심직무특성이론(Core Characteristics Model)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그렉 올드햄(Greg R.Oldham)과 리차드 해크만(J. Richard Hechman)에 의해서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반에 개발된 이론이다. 이 이론은 직무 성과, 직무 만족과 같은 요인들이 어떻게 직무의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잘 설명해주는 이론으로서, 올드햄과 해크만은 핵심적인 다섯 가지의 직무 특성이 개인의 심리상태에 영향을 미쳐 직무 성과를 결정짓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그 과정에서 개인의 성장욕구가 중요한 변수로서 작용한다고 보았다. 이 이론은 직무 특성의 조절을 통해 반복적이고 기계적인 직무로부터 비롯되는 직무 불만족 등을 최소화하고 개인적 성취감, 만족감 등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데 활용된다.

5가지 직무 특성

1. 기술 다양성(Skill Variety):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술이 다양할수록 개인은 직무에 대하여 더 의미와 가치가 있는 것으로 느끼며, 자기 효능감을 경험한다. 항상 같은 업무를 담당하거나 특정한 기술만이 요구되는 직무를 한다면 개인은 성장하거나 해당 직무가 의미있다는 느낌을 갖지 못한다.

2. 과업 정체성(Task Identity): 직무의 범위로서, 직무가 전체 작업 공정 중 일부만을 담당하는 것인지 전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인지와 관련되어 있다. 전체 과정 중 특정 부분만을 담당할 때보다 전체 과정을 담당할 때 개인은 직무를 더 보람된 것으로 느끼게 된다.

3. 과업 중요도(Task Significance): 직무가 고객이나 주변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의 정도로, 이는 조직 내에서의 영향력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고, 조직을 넘어선 더 큰 영역에서의 영향력일 수도 있다. 개인은 자신의 직무가 타인에게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느낄수록 과업을 중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4. 자율성(Autonomy): 직무를 담당함에 있어서 주어지는 권한과 독립성의 정도로, 개인은 스스로 직무를 계획, 관리, 조절할 수 있을 때 직무에 대해서 더 많은 의미를 부여한다. 언제 일을 시작할 것인지, 어떤 과정을 거칠지 등에 대해서 독립성을 가지고 스스로 결정할 수 있을 때, 개인은 업무 성과의 성공이나 실패에 대해서 더 많은 개인적 책임감을 느낀다.

5. 피드백(Feedback): 결과에 대해서 개인이 어느 정도의 지식이나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에 관한 것으로, 업무 결과에 대해 구체적이고 명확한 정보를 얻고, 성과 향상을 위해 어떤 행동을 하면 될지 알 수 있을 때 개인은 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직무를 담당할 수 있다.

직무특성의 영향

5가지의 직무 특성은 잠재적 동기지수(MPS: motivating potential score)로서, 직무에 대해서 부여하는 의미, 책임감, 직무에 대한 지식과 같은 개인의 심리적 상태에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기술 다양성과 직무 정체성, 직무 중요성은 직무 의미에 영향을 주며, 자율성은 직무에 대한 책임감, 피드백은 직무 지식에 영향을 미친다. 심리적 상태는 다시 직무에 대한 내적 동기, 작업 수행, 결근률, 이직률, 직무 만족도와 같은 직무 성과에 영향을 준다. 이때 개인의 성장욕구가 높을수록 다섯 가지 직무 특성의 효과적 조절을 통한 내적 만족감, 동기 부여의 증진이 더 많이 나타난다.

활용

직무특성이론은 직무특성의 조절을 통하여 개인의 심리상태와 성과를 향상시키는 전략으로서, 산업 및 조직심리학, 행정학, 교육공학 등 다양한 학문 영역과 기업, 기관 등에서 활용되어 왔다. 기술 다양성을 높이기 위해서 기업에서는 직무능력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교육 및 순환보직을 통한 반복적 업무의 감소, 유사한 업무 단위로 조직을 구성하거나 기획 및 생산의 전 과정을 경험할 수 있는 방식으로의 업무 조정, 직무의 중요도를 조직원이 직접 느낄 수 있도록 고객과 직접 접촉할 수 있는 환경에서의 업무기회 제공, 자율성 향상을 위한 직무권한의 위임, 피드백 향상을 위한 정보 제공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인다.

의의 및 한계

직무특성이론은 효과적인 직무설계를 통하여 개인이 직무에 대해서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성과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개인과 직무 사이의 적합도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개인의 내적 상태가 항상 가변적이며 수많은 개인차를 모두 고려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 등은 한계점으로 지적된다.

참조항목

,

카테고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