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원핵생물분류위원회

국제원핵생물분류위원회

[ International Committee on Systematics of Prokaryotes ]

약어 ICSP

국제원핵생물분류위원회(ICSP, International Committee on Systematics of Prokaryotes)1)는 원핵생물의 명명을 감독하고, 원핵생물 명명 규칙을 결정하고, 명명법 개정사항을 발행하며, 산하 사법위원회를 통해 원핵생물의 분류학적 문제에 관해 심사하고 결정된 의견을 공표하는 역할을 하는 국제 기구이다.

목차

조직

국제원핵생물분류위원회 로고 (출처: http://www.the-icsp.org/)

ICSP는 세계미생물학회연합(International Union of Microbiological Societies) 산하의 (Bacteriology and Applied Microbiology Division)에 소속된 기관으로, 이전에는 국제세균분류위원회(ICSB, International Committee on Systematics of Bacteria)였다가 2000년에 국제원핵생물분류위원회로 개명하였다.

ICSP의 구성은 의장, 부의장, 비서실장, 회계, 분과위원회 비서 각 1명과 집행위원회 멤버 수명으로 구성된다. 위원들의 임기는 3년이며 연임이 가능하다. ICSP 내부에는 여러 개의 분류 소위원회들이 존재하며, 각 소위원회는 특정 분류군에 대한 명명법적 문제들을 해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ICSP의 사법위원회인 Judicial Commission에서 학명에 대한 적법성 및 유효성 등에 대해 심사하고 사법적 결정을 내린다. 그리고 명명규약 출판위원회에서는 규정간의 충돌이나 특정 분류군에 발생하는 예외적인 문제점 등이 발견될 때 명명법에 대한 수정 출판 조치를 담당한다.

기능

Approved List of Bacterial Names (출처: http://ijs.microbiologyresearch.org/content/journal/ijsem/10.1099/00207713-30-1-225)

1980년 1월 1일 국제원핵생물분류위원회는 이전까지 체계 없이 관리되었던 원핵생물의 이름을 일제히 정리하였다. 하나의 분류군에 여러 이름이 있거나, 이름 하나가 서로 다른 분류군에 중복되거나, 균주가 보존되지 않아서 이름만 남은 종들을 최대한 정리하여 2,500여 종의 명칭만을 공식적인 이름으로 인정하기로 하고 1980년 'Approved Lists of Bacterial Names'2)라는 제목으로 출간하고 공표하였다. 이후 국제원핵생물분류위원회는 원핵생물의 이름을 등록하고 목록화하는 일원화된 공식적인 체계를 확립하여 오늘까지 유지해 오고 있다. 신규 분류군이 보고되고 그 이름이 명명법 규약에 부합하면 이를 유효한 이름(validly published name)이라고 하며 매달 출간하는 위원회 공식 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IJSEM)저널의 Notification list와 Validation list에 실어서 공표한다. Notification list는 IJSEM에 직접 신분류군을 보고하여 공인된 분류군 목록이고, Validation list는 기타 학술지에 신종을 보고한 후 위원회측에 신종 인증을 신청하였을 때 인정되어 게재되는 분류군 목록이다. 위원회가 판단하기에 명명법 규약에 맞지 않아 공식적으로 인정이 어려운 균주는 이 목록에 등재되지 않는데 그런 학명은 논문에 출간되고 신종으로 제안은 되었으나 ‘무효한 명칭(invalid name)’이라 하여 공식적 학명으로 인정받지 못하며, 굳이 그 학명을 사용해야 한다면 학명의 양 옆에 인용부호를 붙여서 "Pseudomonas denitrificans와 같이 공인되지 않은 학명임을 표기해야 한다.

원핵생물 명명법

원핵생물 종의 이름은 원핵미생물 명칭에 관한 명명규약 ‘The Code’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of Prokaryotes)을 따라야 한다. 최초의 명명규약은 1948년에 출간된 ‘The Bacteriological Code’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of Bacteria) (Buchanan et al, 1948)3) 였다. 최근까지 1966년 승인되고 1990년에 수정된 ‘Bacteriological Code’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of Bacteria) (Lapage et al, 1992)4)를 명명규약으로 사용했으나, 지금은 2015년 개정된 ‘The Code’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of Prokaryotes) (Parker et al.)5)를 사용하고 있다. 이 규약은 아종-종-속-과-목-강에 이르는 원핵미생물 분류군에 대한 명명규칙을 다루고 있으나, 문-계 등의 상위 수준 분류군 및 아종 이하 하위 범주(혈청형, 생물형 등)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는다. ICSP는 이 규약에 어긋나는 경우들에 대해 심사하고 최종 판단을 내리는 권한을 가지고 있다.

공식 저널

ICSP의 회의록, Judicial Commission의 판단, 원핵생물 이름에 대한 승인 등 모든 공식적인 결정 사항은 공식 학술지인 IJSEM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를 통해 출간하여 공표한다. 신종, 신속 등 새로운 분류군을 제안하는 저자들은 이를 IJSEM에 출간함으로써 동시에 Notification List에 등재되게 되며 이는 새로운 이름에 대한 공식 인증을 획득한 셈이 된다. IJSEM 외의 다른 저널에 출간하였을 때에는 IJSEM의 validation 심사를 한차례 더 받고 Validation List에 이름이 올라 가야만 신규 이름이 법적으로 유효한 이름이 된다.

집필

이하나/고려대학교

감수

김승범/충남대학교

참고문헌

1.
2. Skerman VBD, McGowan V, Sneath PHA, editors. Approved Lists of Bacterial Names (Amended). Washington (DC): ASM Press; 1989.
3. BUCHANAN RE, ST JOHN-BROOKS R, BREED RS. International bacteriological code of nomenclature. J Bacteriol. 1948 55: 287-306.
4. Lapage SP, Sneath PHA, Lessel EF, Skerman VBD, Seeliger HPR, Clark WA, editors.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of Bacteria: Bacteriological Code, 1990 Revision. Washington (DC): ASM Press; 1992.
5. Parker CT, Tindall BJ, Garrity GM.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of Prokaryotes. Int J Syst Evol Microbiol. 2015 doi: 10.1099/ijsem.0.000778.

동의어

국제원핵미생물분류위원회, 국제원핵생물분류위원회(International Committee on Systematics of Prokaryotes), 국제원핵생물분류위원회, ICSP, International Committee on Systematics of Prokary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