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젤란 우주선

마젤란 우주선

[ Magellan spacecraft ]

요약 1989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에 의해 발사된 금성 탐사용 무인 우주탐사선을 말한다.

1970년대 후반 과학자들은 의 레이더 지도를 제작하는 임무를 추진하였다. 처음에는 VOIR(Venus Orbiting Imaging Radar)이라는 우주선을 제작하려고 했지만 예산상의 문제로 1982년 프로그램이 취소되었고, 이듬해인 1983년 금성 레이더 매퍼(Venus Radar Mapper) 프로그램으로 다시 시작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이후 포르투갈의 탐험가였던 (Ferdinand Magellan)의 이름을 따 마젤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특징

마젤란 우주선은 탐사선으로, 에서 발사되는 우주선 중 최초로 행성 간 임무를 부여받았으며, 발사 시에 셔틀 상단의 부스터를 사용하는 최초의 우주선이었다. 또한 금성 궤도로 진입하는 방법으로, 행성의 대기를 이용하여 속도를 줄이는 에어로브레이킹(aerobraking)을 테스트하는 첫 우주선이었다. 이 우주선은 금성에 대한 (NASA)의 임무 중 다섯 번째로 성공한 우주선이었다.

발사

마젤란 우주선은 우주왕복선 아틀란티스(STS-30)를 타고 플로리다 에서 1989년 5월 4일 발사되었다. 궤도에 진입한 우주왕복선에서 마젤란 우주선은 아틀란티스호에서 1989년 5월 5일 발사되어, 15개월 후인 1990년 8월 10일 금성에 도착하였다.

목적 및 성과

이 우주선의 목적은 두꺼운 대기층 때문에 광학망원경으로는 관측이 불가능한 금성 표면의 지형을 레이더를 사용하여 얻고, 행성의 을 측정하는 것이었다. 1990년부터 1994년까지 금성 궤도를 돌면서 (synthesized aperture radar)를 사용하여 금성의 표면을 조사하였는데, 이는 금성 표면 구조와 표면에서의 지질학적 활동 및 구조 등에 대하여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조사 결과 금성 표면의 대부분은 화산 물질로 덮여 있고, 다양한 종류의 화산 지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금성의 경우 두꺼운 대기를 가지고 있어 대기 활동으로 인한 지형의 침식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실제로는 바람에 의한 침식은 거의 발견되지 않고 먼지와 모래의 바람이 제한적으로 움직였다는 것을 알아냈다.

종료

1994년 9월 9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마젤란 우주선의 종료에 대해 발표하였는데, 마젤란 우주선의 마지막 임무는 금성의 표면을 향한 낙하 실험으로, 이때 을 사용하지 않고 태양전지판을 최대로 펼쳐 회전시키면서 중력을 감소시키며 내려가는 것이었다. 1994년 10월 11일 금성 대기권 내 약 140km 고도까지 내려가는 데 성공하였고, 1994년 10월 13일 통신이 끊어지면서 임무가 종료되었다.

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