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적 의식

시간적 의식

[ Temporal Consciousness ]

요약 일상적인 의식 경험에서, 과거·현재·미래 등의 시간에 대한 의식을 말한다.

우리는 시간적 간격을 통해 변화, 유지, 움직임, 연속성 등을 직접적으로 인식한다. 2시간짜리 영화를 볼 때, 시각적, 청각적 경험을 연속적으로 쉴 새 없이 받아들이기도 하며, 과거에 경험한 기억을 통해 현재에 영향을 미치는 후회나 슬픔과 같은 감정을 경험하고 미래를 기대하며 계획하기도 한다. 우리의 의식은 이렇게 시간 속에 연속성을 가지는 듯 보이지만, 우리가 경험할 수 있는 것은 오로지 현재, 곧 아주 순간적인 일시일 뿐이다. 따라서 우리의 인식이 오로지 현재에만 국한된다면, 우리의 의식은 시간을 통해 연장되는 것이 아니게 된다. 의식은 오로지 순간적이고 단면적인 현재만 인식할 수 있는 동시에 연속적인 과거, 현재, 미래 속에 연장될 수도 있는 모순적인 두 가지 측면을 동시에 가지는 것처럼 보인다. 이 모순적인 현상을 설명하는 것이 시간적 의식을 연구하는 철학자들의 과제가 된다.

역사

교부철학자 는 우리가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순간적인 현재의 단면밖에 없다고 주장하면서, 오로지 현재만이 존재한다는 현재론(Presentism)을 처음으로 발전시켰다. 연속적인 사건의 진행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우리의 과거에 대한 기억과 미래에 대한 기대가 서로 의식을 통해 상호작용하기 때문이다. 17세기 영국철학자 는 의식이란 연속성을 관찰하고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역시 정신이 인식하는 개념의 연속성을 통해 시간을 추상화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후 독일 철학자 (Edmund Husserl)은 현상학적 시간의식을 분석하여, 흐르지 않고 절대적으로 고정되고 동일한 객관적인 시간과 시간을 흐름을 인식하는 주관적 시간의식을 구별하였다. 영국의 현대철학자 과 는 시간을 통한 변화, 유지, 연속과 같은 현상이 실재하기에, 이를 직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현상-시간 실재론(Phenomeno-temporal Realism)을 발전시켰다.

시간적 의식의 구조

영화적 모델
현재의 일시적인 찰나를 통해 시간의 연속성을 이해하는 모순적 인식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설명하는 영화적 모델(Cinematic Model)은 움직이지 않는 스냅샷을 연이어 보여주며 움직임을 영상으로 만들어내는 영화의 구조를 빌려오는 것이다. 즉, 즉각적인 의식은 시간적으로 연장될 수 있는 것이 아니지만 아주 짧은 현재의 인식이 연속적으로 경험되며 시간성을 띠게 되는 것처럼 구성된다.

유지 모델
유지 모델(Retention Model)은 시간적으로 연장될 수 없는 의식의 현재적인 찰나를 통해 변화와 연속을 경험한다는 것이다. 이 경험이 가능한 것은 경험의 내용이 시간적으로 연장된 현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 시간적으로 연장된 현상을 에피소드(episode)라고 부르는데, 이 에피소드는 순간적이고 즉각적인 경험으로 구성된 동시에 방금 일어난 가까운 과거를 표상하고 유지하는 복잡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이에 의식의 흐름은 이러한 복잡한 구조를 지닌 순간적인 상태들의 연속들로 구성된다.

연장 모델
연장 모델(Extension Model)에 의하면, 우리가 경험하는 모든 사건들은 시간적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변화와 지속이 당연히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의식의 흐름은 시간의 연속성을 포함하는 경험의 덩어리 그 자체를 인식하게 된다.

참조항목

,

카테고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