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발산고도

비발산고도

[ level of nondivergence , 非發散高度 ]

요약 대기에서 수평발산속도가 0m/s인 고도를 말한다.

수평적으로 공기가 발산하지 않고 수렴도 하지 않는 고도로, 절대 가 보존된다. 수렴장과 발산장의 영향 없이 대기의 평균적인 수평운동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온대성 의 진화과정을 관찰하기에 좋다. 보통 중층에 위치하나, 특정 기상환경에서는 지표면 근처에 위치하기도 한다.

대류권 중층의 비발산고도

기압 차이를 이유로 지표면에 저기압과 이 발생하면, 대기 상층에서 공기가 발산하고 수렴하는 수직적인 구조가 생긴다. 지표면이 저기압인 지역에서는 공기가 수렴해서 상승하고, 대기 상층에서 발산한다. 여기서 지표면과 대기 상층 사이의 특정 고도에서는 공기의 수평운동이 수렴에서 발산으로 전환되는 고도가 발생하는데, 이 고도가 비발산고도이다.

반대로 지표면이 고기압인 지역에서는 공기가 발산하여 상승하고, 대기 상층에서 수렴한다. 여기서 비발산고도는 지표면과 대기 상층 사이의 특정 고도에서 공기의 수평운동이 발산에서 수렴으로 전환되는 고도이다.

바람의 연직속도는 발산 또는 수렴을 하는 지표면과 대기 상층에서는 0m/s이고, 비발산고도에서는 최대이다. 주로 400~700hPa 사이에 위치하며, 대기에 따라 변동이 있지만, 와 간단한 에서는 표준 관측을 수행하는 고도 중에 가장 근접한 고도인 500hPa을 비발산고도라고 가정한다.

지표면 부근의 비발산고도

드물지만 한랭이류(cold advection)와 연관된 저기압의 경우에는, 높은 고도에서 수렴하고 지표면 부근에서 발산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비발산고도는 지표면의 내에 형성된다.

 

*저기압계 내에서 고도에 따른 풍향과 비발산고도의 위치

비발산고도 본문 이미지 1

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