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심증

협심증

[ angina pectoris , 狹心症 ]

일반적으로 협심증은 심장의 관동맥에 플라크[반(斑; plaque)]라는 덩어리가 굳어서 혈액의 통로를 협소하게 함으로서 생기는 것인데, 그의 β유인은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고뇨산혈증(高尿酸血症; hyperuricemia), 스트레스, 성격 등으로 알려져 있다. 협심증은 일과성의 허혈(虛血; ischemia)에 의해 생기는 흉통 내지 흉부교획감(胸部絞扼感; chest tightness), 또는 흉부압박감 등의 협심통을 주증상으로 하는 임상증후군(臨床症候群; clinical syndrome)을 말한다. 고통은 전흉부 또는 좌흉부에 출현하고, 때로는 목부, 왼팔로 방산(放散; radiation)한다. 일반적으로 수 분 이내는 소실한다.

협심증은 ① 유인부터 노작혐심증과 안정시협심증, ② 경과시부터 안정협심증과 불안정협심증, ③ 발생기서부터, 기질성협심증과 관련축성협심증으로 분류하고 있다. 노작협심증(勞作狹心症; labor angina pectoris)과 동맥경화에 의해 관동맥이 협착하고 있는 상태에서 노작에 의해 심근의 산소소비량이 증가하지만 혈류가 부족하는 기질성인 것이 주요한 원인이 되어 발작하기 시작한다. 노작을 중지하여 안전상태가 되면 발작은 억제된다. 안정협심증(安靜狹心症; quiet angina pectoris)은 취침 중 또는 새벽 등 안정 시에 발생한다. 관동맥에 협착이 없더라도 혈관의 협착, 또는 혈관의 련축으로 혈행이 장해되는 관련축성(冠攣縮性; coronary spasm)이 주요한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불안정협심증(不安定狹心症; unstable angina pectoris)은 발작의 빈도가 증가하든가 또는 지속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증상이 증오 중인 것을 말하며, 심근경색으로 이행하기 쉽다. 협심증이 발작하는 경우는 설정제(舌錠劑; wordy tablets)인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in)과 같은 여약(勵藥; urging drug)의 효과를 나타내는데, 통상 1~2분이면 흉통은 소실한다. 흉통의 부위는 지속시간, 강도, 생명조후 등을 관찰하면서 흉통완화와 불안경감에 기여한다.

발작을 하게 되면 안정유지하면서 가능한 한 조속히 니트로글리세린정제(~錠劑; nitroglycerin tablets)을 혀 아래에서 복용 가능하도록 처치하여 복용 후 효과를 관찰한다. 진단이 확정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복용 전에, 십이유도심전도(十二誘導心電圖; 12-lead electrocardiogram)를 기록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십이유도심전도는 양손, 좌족의 3개소와 흉벽의 일정부위 6개소에 전극을 장착하여 심장활동에 의해 생기는 전위변화를 기록하는 장치이다.

본인은 병상을 이해하면서, 발작유인을 파악하고 발작을 예방(활동제한, 정신적흥분을 회피)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발작예방으로는 칼슘길항제, β차단제를 내복하는 것도 유용하다. 내과적 치료로 조절하지 못하는 경우는 PTCA[경피적관동맥형성술(経皮的冠動脈形成術;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또는 Aortocoronary (A-C) bypass surgery 등을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