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상수

해리상수

[ dissociation constant , 解離常數 ]

A와 B로 구성된 복합체 AB가 AB⇌A+B와 같은 해리평형에 있을 때, 각각의 농도를 [A], [B], [AB]라고 할 때 다음의 식으로 정의되는

해리상수 본문 이미지 1

용액내반응에 있어서 K는 주로 온도의 함수가 된다. A가 효소, B가 기질인 경우에는, 해리상수는 Ks로 나타내고 AB가 산, B가 H인 경우에는 Ka로 나타난다. 어느 쪽인 경우라도, -RT lnK는 이 해리반응에 있어서의 표준자유에너지 변화량 ΔG°같다. 위의 경우와 같이 복합체가 2개의 분자종으로 해리할 경우에는 [A]=[AB], 즉 A 분자종의 반이 B와 결합하고 있는 경우 B의 농도는 해리상수와 같게 된다.

산 해리의 경우에는 pKa =-log10Ka로 정의되는 pKa가 자주 사용된다. 이것은 산 분자의 반수가 해리되어 있는 경우 pH와 동일하게 된다. A 분자상에 B의 결합부위가 여러 개가 있는 경우에는 해리가 복수단계로 일어나지만, 그 각 단계의 해리상수에 고유 해리상수와 통계적 해리상수가 존재한다. 지금 A에 N개의 결합부위가 있고, 이중 J개에 B가 결합하고 있는 경우에는,

해리상수 본문 이미지 2

로 정의되는 는 통계적 해리상수,

해리상수 본문 이미지 3

로 정의되는 는 고유해리상수이다. 따라서 ABJ⇌JB+A의 해리평형의 통계적 해리상수 및 고유해리상수

해리상수 본문 이미지 4

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