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가수분해효소

지질가수분해효소

[ lipase , 脂質加水分解酵素 ]

에스테르를 하여, 지방산을 유리하는 효소군으로, (EC 3.1.1.3). 이 지질가수분해효소 활성이 있는 효소군은 거의 모든 생물에 존재하여, 그 연구의 단서가 된 것을 췌장지질이다. 그 후, 위액 내에서도 지질가수활성이 발견되어 로서의 연구가 선행되었지만, 최근에는 주로 지질단백질지질가수분해효소(LPL), 간성트리아실글리세롤지질 가수분해효소(HTGL) 등의 혈청지질가수분해효소나 호르몬 지질가수분해효소와 같은 조직 내의 지질가수분해효소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LPL와 HDGL와 췌장의 지질가수분해효소의 배열은 높은 상동성이 있어, LPL의 132번째 HTGL의 145번째, 췌장의 지질가수분해효소의 152번째의 세린을 중심으로 한 아미노산배열은 에 공통인 구조를 하고 있다. 췌장의 지질가수분해효소의 X선결정회절의 결과에서, 이 공통구조가 이들 세린의 인 것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들 효소는 최적 pH, 최적온도, pH 안정성, 열 안정성, , 의 요구성 등의 각각 특이한 효소로서 인식한다.

LPL은 이나 근육조직, HTGL은 에서 합성하여 에 수송되고 상의 에 계류하고 있다. 이 때문에 LPL이나 HTGL을 무처치한 혈청에는 거의 검출되지 않지만 헤파린을 정맥주사하면, 혈관내피에서 유출하여 나오기 때문에 임상검사로는 헤파린정맥주사 후에 혈청을 사용하여 이들 지질가수분해효소의 활성을 측정하게 한다.

LPL은 유미입자, VLDL(초저밀도 지질단백질)을 기질로 하여, HTGL은 IDL(중간밀도 지질단백질)을 기질로 하여, 함유트리아실글리세롤을 가수분해한다. 이때, LPL은 지질단백질상의 아포단백질 C-Ⅱ를 보조인자로서 필요하지만, HTGL은 보조인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HTGL에는 또한 HDL(고밀도 지질단백질)을 기질로서 포스포지질가수분해효소의 작용도 한다. 췌장지질가수분해효소는 식사 유래 트리아실글리세롤의 가수분해효소이며, 1,3위의 에스테르결합에 높은 을 갖고 있다.

동의어

리파아제(lip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