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일분수

기일분수

[ 氣一分殊 ]

요약 조선 후기의 학자 임성주(任聖周)가 현상 세계의 존재 원리와 만물의 존재 양상을 설명한 성리학적 본체론의 한 입장을 말한다.

송대(宋代)의 와 에 의해 을 골자로 하는 성리학의 이론 체계가 수립된 이래, 리일분수(理一分殊)는 현상 세계 만물의 존재 양상을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로 이해되어져 왔다. 이를 조선의 성리학자 가 이통기국설로 재정리하였는데, 그에 따르면 현상 세계에 존재하는 다양성은 하나의 보편적 원칙에 근거한다. 이를 설명하는 개념이 바로 ‘리는 만물에 통한다(理通)’는 개념이다. 반면 세계의 다양성이 각기 특수한 성질을 지닐 수 있는 것은 기가 개별 사물에 ‘국한(氣局)’되기 때문이라고 보는 것이다.

이에 대해 임성주는 리일분수라는 설명 방식 자체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그는 리일분수가 리와 기의 속성을 각각 본체와 개체로 고정하여 편중된 방식으로 개념을 사용하는 오류를 지닌다고 비판하였다. 즉 리일분수 또는 이통기국론은 리와 기가 서로 불가분의 관계를 지닌다는 성리학의 기본 전제에 위배된다고 보았던 것이다. 따라서 그는 리와 기가 모두 동일한 실체라는 리기동실(理氣同實)의 전제 하에, 리일분수가 가능하다면 곧 기일분수(氣一分殊) 또한 가능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세계를 기일원론에 입각하여 파악하고자 했던 임성주에 따르면 리와 기는 상호 우열 관계를 띠는 것이 아니라 기로 구성된 세계 안에 리가 내재해 있는 상호 조화의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다. '리'라는 세계의 법칙은 기에 앞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기로 구성된 세계 내에서 오직 발견될 수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이를 받아들인다면 리일분수는 곧 기일분수로 대체가 가능하다. 리일분수는 세계 내의 법칙인 리의 존재양상을 설명하는 것이고 기일분수는 세계를 구성하는 기의 존재양상을 설명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임성주의 관점에서 리일분수와 기일분수는 리와 기 가운데 어떤 측면에 치중하여 파악했는가에 따라 나뉜 것에 불과하다. 리일분수에서 설명하는 리일(理一)의 보편성은 곧 세계의 근원인 일기(一氣) 또는 태허(太虛)·태화(太和)·원기(元氣)가 지닌 보편성에 해당하고, 리의 분수(分殊)는 곧 본원적 실체인 일기(一氣)가 생성·변화하여 다양한 현상 세계로 분수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즉 임성주의 기일분수는 기일원론적 세계관에 입각하여 성리학의 기본 전제들을 충실히 해석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참조항목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