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의전

육의전

조선 시대 한양 운종가에 있었던 여섯 종류의 큰 상점

요약 조선 시대에 나라에 필요한 물품을 공급하던 여섯 종류의 큰 상점이다. 이들은 특정 상품에 대한 독점권, 난전을 단속할 수 있는 금난전권을 가지고 있어 조선 시장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주로 도성 안의 운종가에 점포를 두고 장사했다.
시대 조선 시대

목차

  1. 풀이
  2. 심화

풀이

옛날에는 장사를 하려면 나라의 허락을 받도록 했다. 상업이 지나치게 발달하면 나라의 근본 산업인 농업이 어려워진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조선 시대에도 상인들은 관청의 허가를 받은 뒤에야 장사를 할 수 있었는데, 이렇게 허가받은 상점들을 ‘시전’이라고 했다. 시전 상인들은 나라가 필요로 하는 물품을 대거나 장사한 뒤 남은 수익의 일부를 세금으로 바쳤다.

이후 한양에는 운종가(종로)를 따라 시전 상인들이 자리를 잡으면서 큰 규모의 시장이 만들어졌다. 그런데 시전 상인들 가운데에서도 규모가 큰 거상들이 생겨났다. 비단과 명주, 무명, 모시, 종이, 생선 등을 취급하는 점포였다. 시기마다 이름은 조금씩 달랐지만 보통은 비단을 파는 상점은 선전, 명주는 면주전, 무명은 면포전, 모시는 저포전, 종이는 지전, 생선은 내외어물전이라고 했다. 그리고 이러한 6개의 상점을 일반 시전과 구분하여 ‘육의전’이라고 불렀다.

모시

모시

명주

명주

무명

무명

비단

비단

종이

종이

생선

생선

육의전이란 말 그대로 ‘6개의 주요 점포’를 뜻한다. 면포전, 면주전, 저포전, 선전, 지전, 내외어물전이 바로 그 점포들이다. 취급하는 품목은 모시, 명주, 무명, 비단, 종이, 생선 등이었다.

육의전에는 한양에서 장사할 수 있는 권리뿐 아니라 특정 상품을 자신만 취급할 수 있는 독점권이 주어졌다. 또한 허가받지 않은 상점인 난전을 단속할 수 있는 금난전권도 있었다. 예를 들어 저포전 상인이 허가도 받지 않은 채 종이를 팔고 있는 난전을 발견했다면, 관청에 신고하거나 관원을 부르지 않고도 직접 판매 행위를 막을 수 있었던 것이다.

육의전은 나라에서 준 특권을 이용해 규모를 키워 갔다. 그러나 18세기에 접어들어 큰 자본을 가진 상인들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권력을 가진 사람들의 비호를 받는 상인들도 생겨나자 육의전도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심화

정조는 시전 상인의 독점권을 줄여 시장 질서를 바로잡으려고 했으나 육의전의 특권은 한동안 계속되었다. 한편 조선 후기에는 이미 수공업과 상업이 급속도로 발달해 난전과 보부상들의 수는 더욱 늘어났다. 이에 육의전은 다른 시전 상인이나 난전, 보부상들과 경쟁하는 처지가 되었고 점차 영향력이 줄어들었다. 그러다 조선이 외국에 문호를 개방한 이후에는 독점권을 잃고 몰락했다.

한양의 운종가를 따라 자리 잡은 조선 최대의 시장

한양의 운종가를 따라 자리 잡은 조선 최대의 시장 나라의 허가를 받아 장사하는 시전들이 몰려 있는 운종가는 늘 사람들로 북적였으며, 조선 상업의 중심지가 되었다. 특히 육의전은 운종가의 시전 가운데 규모는 물론이고 권리와 권한이 가장 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