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석

주석

[ Footnotes, Notes, Disclosure , 註釋 ]

요약 재무제표를 구성하는 5가지 요소 중 하나로 다른 4개 보고서(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

를 구성하는 5가지 요소 중 하나이다. 재무제표는 기업이 재무보고 목적으로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이해관계자들에게 제공하는 보고서의 묶음으로써, 주석은 다른 4개 보고서(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 이하 ‘재무상태표를 포함한 4개 보고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하 ‘K-’) 제 1001호에 따르면 주석이 포함하는 주요 정보는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구분하여 정리할 수 있다.

(1) 재무상태표를 포함한 4개 보고서의 작성 근거와 구체적인 회계정책에 대한 정보

(2) 회계기준에서 요구하는 정보이지만 재무상태표를 포함한 4개 보고서 어느 곳에도 표시되지 않는 정보

(3) 재무상태표를 포함한 4개 보고서 어느 곳에도 표시되지 않지만 해당 보고서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

예를 들어, K-IFRS 제 1016호에 따라 유형에 대한 주석을 작성한다고 가정했을 때, 포함하게 되는 내용 몇 가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방법과  등 재무상태표상 유형자산금액을 구하기 위해 적용한 구체적인 회계정책이다. 우리가 가전제품을 구입하여 영원히 사용할 수 없듯이, 기업 역시 영업을 위하여 기계장치와 같은 유형자산을 구입하지만 노후화 등으로 인해 일정 기간 밖에 사용하지 못한다. 즉, 유형자산은 사용기간 동안 꾸준히 가치가 감소하기 때문에 감가상각을 통해 유형자산의 가치감소분을 적용하고, 그 금액을 재무상태표상 유형자산 금액으로 표시한다. 결과적으로 재무상태표상 유형자산 금액은 추정이 포함된 금액으로, 똑같은 유형자산을 가지고 있어도 감가상각 방법과 내용연수에 따라 그 금액이 달라지게 되므로 기업은 주석을 통해 유형자산 금액을 구하면서 적용했던 회계정책을 구체적으로 기재함으로써 재무제표 이용자의 이해를 도울 수 있다.

둘째, 유형자산 주석에 회계기간 중 유형자산의 증가·감소내역이다. 유형자산의 변동내역은 재무제표 이용자에게 유형자산의 세부내역과 기업의 투자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정보로서, 회계기준에서 요구하는 내용이다. 그러나 재무상태표는 오직 결산일 현재의 유형자산 잔액만을 보여주고, 이에 대한 내용은 보고서에서 확인이 어렵기 때문에 주석을 통해 이러한 정보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기업은 사용 중지 상태인 유형자산 또는 이미 상각이 완료되었으나 아직 사용하고 있는 유형자산의 장부금액 등, 회계기준에서 요구하지는 않으나 재무제표 이용자가 기업 운영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주석을 통해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재무상태표를 포함한 4개 보고서는 금액 정보 위주로 기업의 재무정보를 요약하여 보여줌으로써 자산 총액이나 당기순이익 등 기업의 주요 재무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러한 금액 정보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가정과 추정이 필요한 경우가 많을 뿐 아니라, 기업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재무정보 중에는 진행 중인 소송내역이나 자산에 대한 담보사항 등 금액으로는 표시할 수 없는 질적 정보가 존재한다.

주석은 재무상태표를 포함한 4개 보고서로는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는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재무제표 이용자의 이해를 돕고 효과적으로 재무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