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CCD 방식

3CCD 방식

[ 3 Charge Coupled Device ]

요약 구조물의 외관을 조사하는 데에 쓰이는 자동화 기술 중 하나이다.

시설물 외관 스캐닝 기술로, 구역 형식으로 외관을 스캐닝 하는 기술이다. 여러 대의 CCD 카메라를 일정한 속도(5~10km/h)로 이동시켜 구조물의 표면을 촬영한 후, 여러 가지의 영상 처리 기법들을 통해 구조물의 외관을 조사하고 문제점들을 알아낸다. 이 방식은 영상 획득 기술, 영상 처리 기술, 균열 매핑 기술 등 크게 3가지의 기술로 이루어져 있다.

영상 획득 기술은 여러 대의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일정 속도를 유지하고 주행하면서, 외부의 요인(왜곡, 진동 영향)이 최소화 되도록 구조물의 외부를 촬영하는 기술이다. 영상 처리 기술은 영상 회득 기술을 사용하여 획득한 구조물의 외부 모습의 동영상을 왜곡을 보정하는 작업을 거친 후 정지 영상으로 변환하여 하나의 영상으로 접합하는 기술이다. 이를 이용하여 구조물 외부의 문제점들을 찾아서 그 정도를 측정하고, 필요한 형식의 데이터로 나타내어 주는 것이 이 처리 기술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균열 매핑 기술은 영상 처리 기술을 통해서 얻어진 구조물 외부의 문제점들을 정략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여 를 구축하고 이를 추후에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3CCD 방식은 사람의 눈으로 외관을 조사하는 방식에 비해 수백 배 빠른 속도로 작업이 가능하고, 디지털 방식이기 때문에 해당 구조물의 변화 및 생애 주기 등을 입력하는 통합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쉽고 빠르게 구조물 관리가 가능하다. 터널 이외의 형태에 이 방식을 모두 적용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을 가진다. 각종 도로, 철도, 도수와 교량의 교각, 댐 등 다양한 시설물에 적용되어 구조물의 외관을 파악하는 데 쓰이고 있다.

참조항목

카테고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