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섬가
[ 烏蟾歌 ]
〈오섬가(烏蟾歌)〉는 조선 후기에 신재효(申在孝, 1812-1884)가 창작한 판소리 단가로서, 작품명은 작중 화자인 까마귀(烏)와 두꺼비(蟾)를 지칭하는 한자를 각각 취해 조합한 것이다.
이 단가는 일인칭 화자가 까마귀와 두꺼비의 입을 빌려 인간사의 사랑과 이별을 파노라마식으로 전개하는 노래이다. 〈오섬가〉의 장르와 관련해, 신재효가 판소리적 표현방식을 동원해 지은 실험적인 가사 작품이라는 견해, 〈춘향가〉의 축약 형태가 삽입되어 있는 창작 단가라는 견해 등이 제기된 바 있다. 〈오섬가〉를 '단형 판소리'로 보는 시각도 일부 존재하나, 이 작품이 판소리로 불렸다는 명백한 근거가 없는 상황에서 판소리적 문체나 삽입가요의 수용만을 근거로 '단형 판소리'라 단정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다.
이 단가의 일인칭 화자는 가상의 존재인 까마귀와 두꺼비를 등장시켜 남녀 간의 사랑과 슬픔에 대한 중국의 역사 사적, 한국 판소리의 극중 장면을 보여준다. 전자에는 순과 아황·여영, 걸과 매희, 주와 달기, 항우와 우미인, 한태조와 척부인, 원제와 왕소군, 성제와 반첩여, 현종과 양귀비 등이 주인공이 되는 사랑과 이별, 후자에는 춘향과 이도령, 애랑과 정비장, 매화와 골생원이 짝이 되는 장면이 배치된다. 삽입되어 있는 아홉 개의 장면은 옴니버스식의 병렬적인 구성을 취하고 있으나, 그 연결 고리는 까마귀와 두꺼비의 시선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는 다시 일인칭 화자의 시각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오섬가〉에는 중국-한국, 남자-여자, 사랑-이별 등 여러 대칭축이 존재한다. 중국을 중심축으로 전개되는 세계가 역사적 사실의 바탕 위에 서 있다면, 우리나라를 중심축으로 전개되는 세계는 허구적 이야기를 토대로 한다. 한편 남자-여자의 사랑-이별 구도를 통해 작품을 살펴보면, 신재효가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례가 혼재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사례를 제시할 때 극히 적나라한 성적(性的) 표현이 등장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로부터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인 성애(性愛)를 긍정했던 신재효의 의식 세계를 읽어낼 수 있다.
참고문헌
- 강한영, 『신재효 판소리 사설 전집』, 연세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79.
- 김기형, 「신재효 作 가사체 작품의 장르 귀속문제와 작가의식」, 『韓國歌辭文學硏究 : 尙山鄭在晧博士華甲紀念論叢』, 태학사, 1995.
- 서종문, 「판소리 단가에 나타난 신재효의 세계인식」, 『판소리연구』 23, 판소리학회, 2007.
- 이기형, 「단가의 범주와 신재효 가사의 성격」, 『판소리연구』 10, 판소리학회,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