톈산산맥

톈산산맥

[ Tian Shan , 天山山脈(천산산맥) ]

요약 중국의 신장웨이우얼자치구와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의 4개국에 걸쳐 있는 산맥.
비행기에서 본 천산산맥

비행기에서 본 천산산맥

톈산[天山]이라고 약칭한다. 일년 내내 녹지 않는 에 덮여 있어 옛날에는 바이산[白山] 또는 쉐산[雪山]이라고 불렀으며, 당나라 때는 저뤄만산[折羅漫山]이라고 불렀다. 동서주향(東西走向)의 습곡단괴로 이루어진 산맥으로, 중부를 가로지르며 과 그리고 등 4개국에 걸쳐 있다.

서쪽의 중국과 카자흐스탄 국경에서 시작하여 동쪽으로 싱싱샤[星星峡]에 이르는 동서의 길이는 약 2500㎞, 남북의 너비는 250~300㎞이다. 평균 해발은 약 5000m이며, 최고봉은 키르기스스탄과 중국 국경에 있는 해발 7435.3m의 포베다산[Pobeda Mt, 중국명은 퉈무얼봉(托木尔峰)]이다. 그밖에 주요 봉우리로 한텡그리봉[汗腾格里峰, 6995m], 보거다봉[博格達峰, 5445]m이 있으며, 3000~4000m급의 봉우리들이 즐비하다.

약 200만~300만년 전에 형성된 젊은 산계(山系)에 속하며, 전체적으로 3열의 산맥으로 이루어져 북쪽에서부터 남쪽으로 북톈산[北天山]·중톈산[中天山]·남톈산[南天山]으로 구분한다. 지형은 산지와 산간분지 그리고 산자락 평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간분지로는 하미분지[哈密盆地]·투루판분지[吐魯番盆地]·이리곡지[伊犁谷地] 등의 함몰분지가 있으며, 남쪽으로 과 이어진다. 산정의 빙하가 녹은 물이 흘러내려 강을 이루는데, 시르다리야강·이리강·추강 등이 이 산맥에서 발원한다.

키르기스스탄은 국토의 약 90%가 톈산산맥과 그 지맥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중국 경내의 톈산산맥을 [新疆 天山]이라고 부르는데, 길이가 약 1700㎞이며 신장웨이우얼자치구 면적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신장 톈산 북쪽으로 (준가얼분지), 남쪽으로 타림분지가 놓여 있다. 2013년 퉈무얼봉과 카라준[喀拉峻]-쿠얼더닝[庫爾德寧], 바인부루커[巴音布魯克], 보거다봉을 구성요소로 하는 606,833ha의 면적이 '신장 톈산'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의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톈산산맥 본문 이미지 1
티베트고원타림분지쿤룬산맥다쉐산맥바옌카라산맥치롄산맥알타이산맥톈산산맥히말라야산맥

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