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버모륨

리버모륨

[ Livermorium ]

요약 주기율표 16족 7주기에 속하는 원소로, 원소기호는 Lv이고 원소번호는 116번이다.
주기율표(리버모륨)

주기율표(리버모륨)

원소기호 Lv
원자번호 116
화학계열 전이후 금속
원자량 293
전자배열 [Rn] 5f14 6d10 7s2 7p4
상태 고체

리버모륨(Livermorium, Lv)은 16족 7주기에 속하는 초중량 방사성 합성 원소로 원자 번호 116번, 원소 기호는 Lv이다. 주기율표 상에서 폴로늄 아래 위치하고 16족 원소 중 가장 무거운 원소이다.

리버모륨 본문 이미지 1

2000년 7월 19일 러시아 두브나에 위치한 원자핵공동연구원(JINR) 팀은 퀴륨-248을 칼슘-48을 타겟으로 하여 충돌시켜 리버모륨을 합성하였으며, 2000년 12월 새로운 원소의 발견을 공포하였다. 2005년 4월 이 팀은 재실험을 통해 8개의 리버모륨을 발견하였으며, 2011년 국제 순수 및 응용화학 연맹(IUPAC)이 러시아 두브나팀이 발견한 116번 원소를 인정하였다.


24896Cm + 4820Ca → 296116Lv* → 293116Lv + 310n → 289114Fl + α


국제 순수 및 응용화학 연맹(IUPAC)에서 정식으로 명명되기 전 이 원소를 에카-폴로늄 또는 임시 이름은 우눈헥슘(Ununhexium), 또는 116번 원소(element 116)라 불렀다. 2012년 3월 31일 국제 순수 및 응용화학 연맹(IUPAC)은 116번 원소의 이름을 리버모륨(Livermorium, 기호 Lv)으로 최종 확정하였다. 이는 116번 원소는 합성 실험에 참여한 미국 캘리포니아주 소재 리버모어 국립연구소(Lawrence Livermore National Laboratory)의 이름을 따라 리버모륨(livermorium)으로 명명한 것이다.

처음 발견된 2000년 이후 35개의 리버모늄이 합성되었으며 가장 안정한 리버모륨-293으로 붕괴하였으며, 61밀리초의 반감기를 가진다.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