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창대계

한국가창대계

[ 韓國歌唱大系 ]

요약 1976년 이창배(李昌培)가 지은 노래사설집.

저자의 『』(增補歌謠集成)을 증보하여 엮은 이 책은 전통성악곡의 가사와 해설 및 주석을 담은 권1 및 5선보로 채보한 권2로 구성됐다. 권2의 5선보는 (金琪洙)가 채보한 것이다.

◇ 권1: 제1장 ; 제2장 고대가요; 제3장 가곡; 제4장 가사; 제5장 ; 제6장 서울의 속가: 1) 민요와 잡가, 2) (十二雜歌), 3) "풍등가"(豊登歌)외 6곡, 4) ""(張大將打鈴), 5) 휘몰이잡가, 6) "금강유람가"(金剛遊覽歌), 7) "국문(國文)뒤풀이," 8) ""(開城八景歌); 제7장 (西道唱); 제8장 (立唱); 제9장 (誦書); 제10장 (詩唱); 제11장 : 1) , 2) , 3) , 4) , 5) ; 제12장 (短歌); 제13장 ; 제14장 (佛敎歌謠): 1) (和請), 2) ""(悔心曲: 佛歌曲), 3) "회심곡"(悔心曲: 소릿조), 4) ""(別悔心曲: 佛歌曲), 5) "탑(塔)돌이," 6) ""(往生歌); 제15장 각도 민요: 1) 경기도, 2) 충청도, 3) 강원도, 4) 황해도, 5) 함경도, 6) 평안도, 7) 경상도, 8) 전라도, 9) 제주도; 제16장 신작(新作) 신요(新謠); 제17장 악기: 금부(金部)·석부(石部)·(絲部)·죽부(竹部)·(匏部)·토부(土部)·(革部)·목부(木部).

◇ 권2: 1. 고대가요: ""(西京別曲)·""·""(思母曲)·""(相杵歌); 2. 가곡: (初數大葉)·(二數大葉)·(羽樂)·(編數大葉)·(太平歌); 3. 시조: (平時調)·(辭說時調)·(羽調時調)·여창지름·남창지름·우조지름·사설지름; 4. 서울의 속가(俗歌): ""(긴잡가)·"제비가"(긴잡가)·""(긴잡가)·""(긴잡가)·""("휘모리잡가"); 5. 서도창: ""(寧邊歌); 6. 입창(立唱): ""·""·""("도라지타령")·""·""; 7. 시창(詩唱): "십이난간"(十二欄干)·""(十載經營)·""(關山戎馬); 8. 판소리: 흥보가·수궁가; 9. 단가(短歌): ""(萬古江山)·""(江上風月); 10. 각도 민요: 1) : "노랫가락"·""(漢江水打令)·""·""·""·""·"태평가"·""·""·""·""·""(陽山道)·""·""·""(景福宮打令)·""("박연폭포")·""·"시설난봉가"·""; 2) 충청도: ""("천안삼거리")·""; 3) 강원도: ""·"정선(旌善)아리랑"·""·"엮음아리랑"; 4) 황해도: ""·""·""·""·""·"몽금포아리랑"; 5) 함경도: ""("어랑타령")·""; 6) 평안도: "수심가"(愁心歌)·"엮음수심가"·"긴아리"; 7) 경상도: "쾌지나칭칭나네"·"성주풀이"·"보리타작노래"·"밀양아리랑"; 8) 전라도: "보렴"(報念)·"화초사거리"·"새타령"·"육자배기"·"잦은육자배기"·"농부가"·"잦은농부가"·"진도아리랑"·"까투리타령"·"강강술래"; 9) 제주도: "둥그대당실"("오돌독"); 10) 신요(新謠): "꽃타령"·"사랑가."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6.2326~32쪽
  • 『國樂大事典』 張師勛,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4년, 80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