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열두마당

판소리열두마당

요약 조선후기 소리광대들이 연주한 판소리의 열두 종목.

18세기 말과 19세기 초 무렵 공연된 판소리 열두마당의 곡명은 (宋晩載)의 「」(觀優戲)에 전한다. 그 열두마당의 곡명은 정노식(鄭魯湜)의 『朝鮮唱劇史』(1940) 소재의 것과 다음과 같이 약간 다르다.

조선후기 판소리 열두마당의 곡명 비교표

조선후기 판소리 열두마당의 곡명 비교표
송만재의 「관우희」 정노식의 『조선창극사』

1. 춘향가(春香歌)

1. 춘향가(春香歌)

2. 심청가(沈淸歌)

2. 심청가(沈淸歌)

3. 흥보가(興甫歌)

3. 흥보가(興甫歌)

4. 수궁가(水宮歌)

4. 수궁가(水宮歌)

5. 적벽가(赤壁歌)

5. 적벽가(赤壁歌)

6. 변강쇠타령

6. 변강쇠타령

7. 배비장타령(裵裨將打令)

7. 배비장타령(裵裨將打令)

8. 강릉매화전(江陵梅花傳)

8. 강릉매화전(江陵梅花傳)

9. 옹고집전(雍固執傳)

9. 옹고집전(雍固執傳)

10. 장끼타령

10. 장끼타령

11. 왈자타령(曰字打令)

11. 무숙타령(武叔打令)

12. 가짜신선타령(神仙打令)

12. 숙영낭자전(淑英娘子傳)

원래 판소리가 열두마당이었다는 것은 연주종목의 수가 12로 꼭 한정됐다는 뜻은 아니고, 더 있을 수 있지만, 어느 땐가 12라는 숫자에 맞춘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 열두마당 중 19세기 후반기 (申在孝)가 여섯마당의 사설을 정리했다. 20세기 초에 오직 다섯마당이 정립된 이후 그 다섯마당이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6.2254~55쪽

참조어

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