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수대엽

초수대엽

[ 初數大葉 ]

요약 ① 조선후기 가곡(歌曲)의 한 곡조.
② 현행 가곡의 한 곡조. 일명 첫째치·첫치·초삭대엽(初數大葉).

① 조선후기 (歌曲)의 한 곡조. 『』(靑丘永言)·『』(海東歌謠)·『』(歌曲原流)에 전하는 초수대엽의 (歌之風度形容)은 (長袖善舞) 세유춘풍(細柳春風) 즉 부드럽고 간드러지게의 뜻이다. 『해동가요』에 전하는 가곡 초수대엽의 시조는 이렇다.

"어져 내일이여 그럴 imagefont을 모르든가 이시라 imagefont드면 가랴마는 제 구imagefont여 보내고 그리는 정(情)을 나도 몰라 imagefont노라."

『가곡원류』에 전하는 으로 불린 김상헌(金尙憲)의 시조는 이렇다.

"남팔(南八)아 남아(男兒)가 사기(死己)연졍 불가이불의굴의(不可以不義屈矣)여다 웃고 대답(對答)imagefont되 공(公)이 유언감불사(有言敢不死)아 천고(千古)에 눈물둔 영웅이 몃몃 듈을지오."

② 현행 가곡의 한 곡조. 일명 첫째치·첫치·초삭대엽(初數大葉). 우리말 의 (數大葉)에서 파생된 초수대엽은 악조에 따라서 우조초수대엽(羽調初數大葉)과 계면초수대엽(界面初數大葉)으로 구분된다.

옛날 가집(歌集)에서 초수대엽의 가풍(歌風) 또는 곡태(曲態)는 장주선무(長紬善舞) 즉 '긴소매를 나풀거리며 곱게 추는 춤 같다' 또는 선유춘풍(線柳春風) 곧 '가느다란 버들가지들이 봄바람에 하늘거리는 듯하다'고 묘사했다. 초수대엽은 (男唱歌曲)에서만 불리고 (女唱歌曲)에는 없다. 장단은 16박장단이며, 이 곡조의 와 정간보는 『국악전집』 권1에 있다.

(우조초수대엽) "동창(東窓)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지진다/소치는 아희(兒imagefont)놈imagefont 상긔 아니 일었느냐/재 넘어 사래 긴밭을 언제 갈려 허느니."

(계면초수대엽) "청석령(靑石嶺) 지나거다. 초하구(草河溝) 어디메오/호풍(胡風)도 차도 찰사 구진 비는 무엄일고/뉘라서 내 행색(行色) 그려내어 님 계신 데 드리리."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5.2139~40쪽
  • 『靑丘永言』, 12쪽
  • 『海東歌謠』, 26, 38쪽
  • 『韓國音樂學資料叢書』 권5(『歌曲原流』), 서울: 국립국악원, 1981년, 21, 25쪽
  • 『文藝總鑑』,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6년, 278쪽

참조어

첮잦은한잎, 첫째치, 첫치, 초대엽(初大葉), 초삭대엽(初數大葉), 초수수엽(初數數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