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만세

천년만세

[ 千年萬歲 ]

요약 ① 고려 및 조선초기 당악(唐樂)의 한 곡명. 일명 "천년만세인자."
② 조선후기 연례악(宴禮樂)의 한 곡명.

① 고려 및 조선초기 당악(唐樂)의 한 곡명. 일명 "." 고려 때 "천년만세인자"는 헌선도(獻仙桃)의 반주음악으로 연주됐다. 조선초기 (1469~1494) 때에는 (聖澤)·(六花隊)·(賀聖明)·헌선도의 반주음악으로 연주됐다. 『경국대전』(經國大典) 권3에 의하면, 성종 당시 "천년만세"는 당악을 연주할 (樂工取才) 때 시험곡의 한 곡명으로 사용됐다.

② 조선후기 (宴禮樂)의 한 곡명. 숙종 기해년(1719) 『』(進宴儀軌)에 의하면, 1719년(숙종 45) 숙종의 보령(寶齡)이 육순(六旬)이어서 (耆老所)에 입소한 것을 경축하는 잔치가 경현당(景賢堂)에서 열렸을 때, 이 악곡은 제1작 및 제5작의 진탕(進湯) 절차에서 연주되었다.

영조 갑자년(1744) 『진연의궤』에 의하면, 1744년(영조 20) 영조의 보령이 망육순(望六旬) 즉 51세가 되어 기로소(耆老所)에 입소한 것을 경축하는 잔치가 숭정전(崇政殿)에서 열렸을 때, 이 악곡은 전하(殿下)가 제2작을 거작(擧爵)한 후의 진탕(進湯) 절차에서 연주되었다.

1795년(정조 19) 정조의 어머니 혜경궁(惠慶宮) 홍씨(洪氏)의 회갑연 및 정조의 등극 20년을 경축하는 잔치가 지금의 수원 소재 화성행궁(華城行宮)의 봉수당(奉壽堂)에서 열렸을 때, 이 악곡은 (進饌) 절차에서 연주되었다.

참고문헌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278, 325, 327, 508, 509쪽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송방송, 469쪽
  • 『進宴儀軌』(1719년), 卷1.15a5, 15b2
  • 『進宴儀軌』(1744년), 卷1.10b12
  • 『整理儀軌』(1795년), 卷2.8a1
  • 『의궤 속의 우리 춤과 음악을 찾아서』 송방송, 서울: 보고사, 2008년, 42~47, 78~86, 144~5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