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대엽

이수대엽

[ 二數大葉 ]

요약 현행 가곡(歌曲)의 한 곡조. 일명 긴자진한닢·긴것·둘째치·이삭대엽(二數大葉).

① 『』(靑丘永言) 및 『』(歌曲原流) 소재 이수대엽의 (歌之風度形容)은 행단설법(杏壇說法) (雨順風調) 즉 한가롭고 태평스럽게 노래를 부르라는 뜻이다.

『가곡원류』 소재 (男唱歌曲) (羽調二數大葉)으로 불린 서경덕(徐敬德)의 시조는 이렇다.

"imagefont음이 어린 후(後)ㅣ니 imagefont는 일이 다 어리다. 만중운산(萬重雲山)에 어늬 님 오리마는 디는 닙 부는 imagefontimagefont에 행(倖)여 긔가 imagefont노라."

『가곡원류』 소재 (女唱歌曲) 우조이수대엽으로 불린 시조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인생(人生)이 둘가 셋가. 이 몸이 네 다섯가. 비러온 인생이 imagefont엣 몸 가지고셔 평생(平生)에 imagefont울일만 imagefont고 언제 놀녀 imagefontimagefont니."

『가곡원류』 소재 남창가곡 (界面二數大葉)으로 불린 이황(李滉)의 시조는 이렇다.

"춘풍(春風)에 화만산(花滿山)이요 추야(秋夜)에 월만대(月滿臺)라. 사시가흥(四時佳興)이 imagefontimagefont과 한가지로다. imagefont물며 어약조비(漁躍鳥飛) 운영천광(雲映天光)이야 아늬 긋이 이시리."

『가곡원류』 소재 여창가곡 으로 불린 시조는 이렇다.

"황산곡(黃山谷) 도라드러 이백화(李白花)를 것거imagefont고 도연명(陶淵明) imagefont즈리라 오류촌(五柳村)에 드러가니 갈중(葛中)에 술 듯는 소imagefont는 세우성(細雨聲)인가 imagefont노라."

② (數大葉) 곧 의 한 파생곡. 조성에 따라서 우조이수대엽(羽調二數大葉)과 계면이수대엽(界面二數大葉)으로 구분된다. 이수대엽은 가곡 한바탕 중에서 가장 느린 곡이기 때문에 긴 것 또는 긴 자진한닢이라고 불렸다. 이 곡조는 (中擧)·(頭擧)·(平擧)의 모체가 되는 곡이다. 이수대엽은 남창가곡과 여창가곡에서 모두 연주되고, (井間譜)는 『국악전집』 제1집에 있다.

(우조이수대엽) "강호에 기약(期約)을 두고/십년(十年)을 분주(奔走)하니/그 모든 백구(白鷗)는 더디 온다 허려니와/성은(聖恩)이 지중(至重)하시니 갚고 갈고 하노라."

(계면이수대엽) "잘 새는 날아 들고 새 달이 돌아온다/외나무 다리로 홀로 가는 저 선사(禪師)야/네 절이 얼마나 허관대 원종성(遠鍾聲)이 들리느니."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4.1764쪽
  • 『海東歌謠』, 26쪽
  • 『韓國音樂學資料叢書』 권5(『歌曲原流』), 서울: 국립국악원, 1981년, 21, 27, 48, 130, 137쪽
  • 『文藝總鑑』,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6년, 278쪽

참조어

이삭대엽(二數大葉), 긴것, 긴자진한잎, 둘째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