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부악기

아부악기

[ 雅部樂器 ]

요약 조선초기 악기분류법의 한 가지. 일명 아악기(雅樂器)·제례악기(祭禮樂器).

악기의 쓰임새에 따라 분류된 아부악기는 중국계 에 쓰인 모든 악기를 포괄했으므로, 이 명칭은 (1469~1494) 때 (唐部樂器)나 (鄕部樂器)와 함께 『』(樂學軌範 1493)에서 사용됐다.

당시 아부악기로 분류된 악기와 의물은 (特鍾)·(特磬)·(編鍾)·(編磬)·(建鼓)·(朔鼓)·(應鼓)·(雷鼓)·영고(靈鼓)·(路鼓)·뇌도(雷鼗)·(靈鼗)·(路鼗)·도(鼗)·(節鼓)·(晉鼓)·축(柷)·어(敔)·관(管)·약(籥)·화(和)·생(笙)·우(竽)·소(簫)·적(篴)·부(缶)·훈(塤)·지(篪)·금(琴)·슬(瑟)·둑(纛)·정(旌)·휘(麾)·(照燭)·순(錞)·탁(鐸)·요(鐃)·탁(鐲)·응(應)·아(雅)·상(相)·독(牘)·적(翟)·간(干)·약(籥), 이상 45종이다. 모두 『악학궤범』 권6에 전한다.

아부악기와 당부악기 그리고 향부악기, 이상 세 갈래로 분류한 방법은 팔음(八音)에 의한 중국의 악기분류법과 다른 우리나라의 독특한 분류법이었다. 이 분류법은 오늘날에도 쓰이고 있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4.1423쪽

참조어

제례악기(祭禮樂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