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난봉가

사설난봉가

[ 辭說難逢歌 ]

요약 ① 경기민요(京畿民謠)의 한 곡명. 일명 "개타령."
② 서도민요(西道民謠)의 한 곡명.
③ 황해도민요(黃海道民謠)의 한 곡명. 일명 "자진개타령."

① (京畿民謠)의 한 곡명. 일명 "개타령." 사람에 따라서 (西道民謠)의 한 곡명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 노래의 가사는 "개타령"에서 (變調)된 노래이고, 그 곡조는 ""에서 파생됐다고 한다. 볶는 으로 맞추어 부르는 "사설난봉가"는 익살스럽고 흥겨운 느낌을 주는 노래이다. 그 가락은 5음음계(E·G·A·B·D)로 구성됐고, 종지음은 E이다. 5선악보는 『』 권7에 있다.

"놀아난다 놀아난다/산골 큰 애기 놀아난다/놀아난다 놀아난다/산골 큰 애기 놀아난다/봄바람이 살랑 불어/버들가지 한들 대고/꽃은 피어 방실방실/범난비들 춤을 출 제/묵었던 시름 다 떨쳐버리고/훨훨거리고 다 놀아나누나/ ··· 운운."

② 서도민요(西道民謠)의 한 곡명. 사람에 따라서 경기민요의 한 곡명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이 노래는 (李尙俊)의 『』(朝鮮俗曲集)에 채집됐다. 1920년대 서울에서 불린 노래의 가사나 곡조는 현행 것과 다르다. 오늘날 의 에 의하면, "사설난봉가"의 1절과 6절은 『조선속곡집』의 것과 비슷하다. 1920년대 4분의 2박자에 맞추어 불린 노래의 가락은 5음음계(D·E·G·A·B)로 구성됐고, 종지음은 G이다. 노래 가사는 다음과 같다.

1절: "에- 웨 생겻나 웨 생겻나 고다지 곱게 웨 생겻나/웨 생겻나 웨 생겻나 고다지 곱게 웨 생겻나/무쇠 풀무 동풀구에 사람의 간장을 다 녹여 내누나." () "에에야 어야듸야 내 사랑아." 2절: "에- 영감을 다리고 술장살 할가/총각을 다리고 뺑손이를 칠까/영감을 다리고 술장살 하자니/밤잠을 못자서 걱정이 되고/총각을 다리고 뺑손일 치자니/나만은 잡년이 실업슨일이라/ ··· 운운."

③ (黃海道民謠)의 한 곡명. 일명 "자진개타령." 이 노래는 구조(舊調)와 신조(新調)로 나뉠 수 있다. 구조는 "자진개타령"으로 불리기도 한다. 구조의 노래 가사는 『』에 의하면 3절에 해당한다. 신조의 것은 경기민요의 "사설난봉가" 1절과 같다. 다음은 『조선의 민요』 소재 노래의 가사 첫 부분이다.

1절: "앵두나무 아래 병아리 한 쌍 노는 것/총각 낭군(郎君)의 몸보신 감이라/아항 아항 에헤에 에헤이 에헤야." 2절: "수리 휘어 다 차갔다/차가다니 무엇이 차갔단 말인가/정방산(定方山) 수리가 다 차갔다/한 놈은 어찌했니 한 놈은 쥐가/똥구명을 팟기에 술안주 해 먹었다/얼사 좋다 두둥둥 둥개야 네가 내 사랑아." 3절: "개야 개야 개야 감정 알룩의 수캐야/두 귀가 축 늘어졌다 엘화 청삽사리야/아항 아항 에헤야 에이 에헤야."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3.1081~83쪽
  • 『韓國歌唱大系』 李昌培, 서울: 홍인문화사, 1976년, 812~14쪽
  • 『民俗藝術事典』,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년, 147쪽

참조어

사셜난봉가, 자진개타령, 잦은개타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