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신굿

별신굿

[ 別神- ]

요약 ① 무당이 지내는 굿의 일종.
② 동해안 지방 부락제(部落祭)의 하나.

① 이 지내는 굿의 일종. 별신굿은 대체로 고성·양양·속초·명주·강릉·삼척·울진·영덕·영일·월성·울산·부산, 이상의 동해안 지방에서 세습무(世襲巫)에 의해서 연행되는 굿이다. 고기를 많이 잡히게 해달라는 기원에서 거행되는 동해안별신굿은 굿 도중에 여러 연희적인 놀이를 많이 삽입하여 축제적 분위기에서 진행된다.

내륙 지방에서는 거의 거행되지 않는 별신굿이 충남 은산(恩山) 지방에서만 명맥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 동해안별신굿에서는 과 이 많이 쓰이고, 장구·징·· 같은 가 사용된다. 의 은 5음음계(도·레·미·솔·라)로 구성되는데, 주요음은 레·도·라·미 이상의 네 음이다.

은산별신(恩山別神)굿의 경우 이 연주되는 절차는 진대배기··상당(上堂)굿·상당강신(上堂降神)굿·하당(下堂)굿이다. 이 굿에서 무가와 (三絃六角)의 형태의 음악이 무용반주에 쓰이고, 이 주로 쓰인다. 무가의 가락은 시나위조(調)의 5음음계(C·D·E·A·B)로 구성됐고, 무용반주에서는 덩덕궁이··살푸리장단이 주로 쓰인다. 가끔 (일명 앉인뱅이)과 이 연주된다. 삼현육각(三絃六角)의 잽이 중에 구음살푸리라는 을 부르기도 한다.

② 동해안 지방 부락제(部落祭)의 하나. 서울 지방의 이나 전라도의 에 해당하는 별신굿은 마을에서 매년 또는 몇 년마다 한 번씩 무당을 불러 마을의 안녕(安寧)과 평화 및 풍어(豊漁)를 비는 굿이다. 굿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제주(祭主)집의 조상에게 알리는 축원, 2) 부정을 쫓아내는 , 3) 부락신을 모셔 오는 당(堂)맞이굿, 4) 동신(洞神)에게 제사, 5) 신을 청하여 좌정(座定)시키는 청좌(請座)굿, 6) 마을 조상을 섬기는 , 7) 마을의 복을 가져 온다는 , 8) 무가 성주풀이는 부르는 성조굿, 9) 심청(沈淸)의 넋을 불러 오는 , 10) 천연두신을 쫓아내는 , 11) 장군신을 모시는 구능굿, 12) 굿에 참가한 모든 무당이 부르는 꽃노래·, 13) 해변에 나가 바다에 헌식(獻食)하는 , 14) 잡귀를 풀어 먹이는 으로 구성된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3.973쪽
  • 『民俗藝術事典』,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년, 13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