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타령

매화타령

[ 梅花打令 ]

요약 ① 19세기 후반 진주교방(晉州敎坊)에서 연주된 가사(歌詞)의 한 곡명.
② 현행 12가사(歌詞)의 한 곡명. 일명 매화곡(梅花曲).
③ 경기민요(京畿民謠)의 한 곡명.
④ 구전민요(口傳民謠)의 한 곡명.

① 19세기 후반 (晉州敎坊)에서 연주된 (歌詞)의 한 곡명. 이 가사는 1867년(고종 4)부터 1870년(동왕 7) 사이 (鄭顯奭)이 진주목사(晉州牧使)로 지냈을 때 진주교방(晉州敎坊)에서 연행됐다고 그의 『』(敎坊歌謠 1872)에 전한다.

② 현행 12가사(歌詞)의 한 곡명. 일명 (梅花曲). 현행 12가사 중 "매화타령"·""(首陽山歌)·""(襄陽歌)·"처사가"(處士歌), 이상 네 곡을 임기준이 (雅樂部員養成所)의 (雅樂生)에게 가르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③ (京畿民謠)의 한 곡명. 에 맞추어 연주하는 이 는 남녀 간 상사의 정을 읊은 노래이다. 곡명은 에 나오는 가사에서 따온 것이다. 본래 이 노래는 경기 12잡가의 마지막 곡인 ""의 끝에 포함되어 있었으나, 지금은 독립된 민요로 불리고 있다. 이 노래의 가락은 5음음계(B·C·E·F·G)로 구성됐고, 종지음은 B이다. 5선악보는 『』 권7 및 (李昌培)의 『』(韓國歌唱大系)에 다음과 같이 나온다. 이 민요의 은 이렇다.

1절: "인간 이별 만사 중에 독수공방(獨守空房)이 상사난(相思難)이란다." 2절: "안방 건너방 가로닫이 국화(菊花) 새김의 완자문이란다." 3절: "어저께 밤에도 나가 자고, 그저께 밤에도 구경 가고, 무삼 염치(廉恥)로 삼승(三升) 버선에 볼받아 달람나."

④ 구전민요(口傳民謠)의 한 곡명. 평강·영천·부여·김제·진안·서산·제주·강릉·진도 지방에서 채집된 노래 가사가 전한다. 다음은 부여(扶餘) 지방의 것이다.

"영의 화산 범나비/꽃 보라고 여기 왔더니/매화는 어디 가고/박꽃 하나 계우피어/장부의 간장을 속일소냐."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2.755~56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356, 409쪽
  • 『文藝總鑑』,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6년, 283쪽
  • 『民俗藝術事典』,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년, 114, 150, 181쪽
  • 『韓國歌唱大系』 李昌培, 서울: 홍인문화사, 1976년, 815~1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