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가

단가

[ 短歌 ]

요약 ① 시조(時調)의 옛 이름.
② 조선 중기 노래 형식의 한 가지.
③ 판소리 본바탕을 부르기에 앞서 부르는 짧은 노래. 일명 목푸는소리·목풀이·허두가·영산(靈山).

① (時調)의 옛 이름. 단가라는 명칭은 ·의 사설처럼 (長歌)의 대칭어로 쓰였다. 시조문학에서 다루는 소위 정형시조가 단가의 범주에 든다.

② 조선 중기 노래 형식의 한 가지. 『』(白雲庵琴譜)에 평조단가(平調短歌)가 나오고, 최남선(崔南善) 소장의 『금보』에는 우조단가(羽調短歌)·우계면조단가(羽界面調短歌)·평조단가가 나온다. 그런 단가의 형식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았다.

③ 본바탕을 부르기에 앞서 부르는 짧은 노래. 일명 목푸는소리·목풀이·허두가·(靈山). 판소리 가 목을 풀기 위해 부르는 단가는 판소리 본 바탕의 긴 노래에 비해 짧은 노래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단가의 사설은 산천풍월(山川風月)이나 고사를 노래한 것이 대부분이다. 단가의 장단은 가 대부분이고, 와 도 쓰인다. ""(萬古江山)·""(鎭國名山)에는 이 쓰였고, 은 ""(皐皐天邊)에 사용되었으며, "사창화림풍"(紗窓花林風)에는 엇중모리장단이 쓰였다. 단가의 조(調)는 (平羽調)로 부르는 것이 원칙이나, 계면을 섞어 부르기도 하고 으로 부르기도 한다.

(宋晩載)의 「」(觀優戲)나 (申在孝)의 "광대가"(廣大歌), 그리고 신자하(申紫霞)의 「」(觀劇詩)에서는 단가라는 말 대신에 영산(靈山)이라는 말이 나온다. 신재효가 창작한 짧은 노래들은 허두가(虛頭歌)로 전하고 있다. 허두가라는 명칭의 단가 사설은 신재효가 창작했다. 현행 "고고천변"·""(宮墻歌)·"금화사가"(金華寺歌)·""·""(大觀江山)·""·""(瀟湘八景)·""(崇儒歌)·"역대가"(歷代歌)·"역려가"(逆旅歌)·""(太平歌)·"효도가"(孝道歌), 이상 13편은 신재효가 창제한 단가이다. 현행 단가의 가사는 성군(聖君)·철인(哲人)·지사(志士)·영웅(英雄)·호걸(豪傑)·재사(才士)·미인(美人)·연군(戀君) 등을 주제로 한 내용들이다.

중모리장단이나 중중모리장단에 맞추어 부르는 현행 단가의 음악적 기능은 기악곡의 처럼 본바탕의 공연에 앞서 창자의 목을 풀고 마음을 가다듬게 해주는 데 있다. 음악적으로 단가의 곡조가 뛰어났기 때문에 오늘날 판소리의 본바탕 연주와 상관없이 하나의 독립된 곡으로 단가를 부르기도 한다.

판소리 창자들이 즐겨 부르는 현행 단가의 곡들로는 ""(江上風月)·"만고강산"·"몽유가"(夢遊歌)·""(白首恨)·""(不須鬢)·""(四時風景歌)·"소상팔경"·""(雲淡風輕)·""(丈夫恨)·""(釣魚換酒)·""·"진국명산"(鎭國名山)·"초로인생"(草露人生)·""(楚漢歌)·""(探景歌)·""(片時春)·""(風月江山)·""(湖南歌)·""(鴻門宴歌) 등이 있다. 단가의 가사는 (朴憲鳳)의 『唱樂大綱』에 있고, 5선보의 악보는 『』 권9에 전한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2.544~46쪽
  • 『증보한국음악통사』 송방송, 서울: 민속원, 2007년, 432쪽
  • 『民俗藝術事典』,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년, 92쪽

참조어

허두가(虛頭歌) , 목푸는소리, 목풀이, 초두가(初頭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