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잡가

남도잡가

[ 南道雜歌 ]

요약 전라도 민간성악의 한 갈래.

남도 지방에서 라는 말은 ···를 제외한 모든 성악곡을 총칭하는 말로 사용되기 때문에, 와 이 남도잡가의 범주에 든다. 따라서 ""(報念)·"" 같은 남도입창(南道立唱)이나 ""·"" 같은 남도민요(南道民謠)가 모두 남도잡가로 분류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나 와 남도잡가라는 명칭은 그 내용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

고종(1863~1907) 때 전남 옥과(玉果) 출신의 (申芳草)는 당시 들이 부르던 ""를 편곡하여 화초(花草) 대목을 넣어 "화초사거리"(花草四巨里)를 지었다. 그 잡가의 멋들어진 에 많은 소리꾼이 생기게 되었다. 신방초 이후 이름을 날린 잡가명창은 (張判介)·(趙鎭榮)·(金正文)이었다. 후에 장판개와 김정문은 판소리명창이 되었다. 당시의 잡가 소리꾼들은 "보렴"·"화초사거리" 외에 "성주푸리"·"새타령"·""을 불렀다. 이 중에서 "새타령"은 (朴裕全)·(李捺致)·(李東伯)과 같은 판소리명창들이 불렀으나, 이것은 이른바 구조(舊調)였고, 잡가꾼들이 부르던 "새타령"은 잡가로 좀 더 느리고 조(南道山打令調)로 부른다.

일제강점기 남도잡가는 (圓覺社)·(光武臺) 시절에 이어 (演興社)·(長安社) 및 (半島唱劇團)·(光月團) 등에서 인기가 높았다. 1910년대부터 이름을 떨친 장판개·조진영 등은 1920년대에도 삼남(三南) 지방 순회공연에서 인기가 많았다. 이 무렵 남도잡가의 소리꾼은 김정문·(趙相鮮)·한독득·(姜南中)·(宋基德)등이었고, 여류명창으로는 (申玉蘭)·(申貞玉)·(申蓮玉)·(金錦花) 등이 있었다. (金秋月)·(申錦紅)·김녹주(金綠珠)·(李花中仙) 같은 판소리명창들도 잡가를 잘 불렀다. 특히 김녹주와 이화중선은 "화초사거리"를 잘 불렀다.

참고문헌

  • 『한국음악용어론』 송방송, 권2.467쪽
  • 『文藝總鑑』,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6년, 286, 288쪽
  • 『民俗藝術事典』, 서울: 한국문화예술진흥원, 1979년, 7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