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갈

재갈

말의 입에 청동이나 철로 된 재갈쇠를 물리게 하고 뒤에 끈을 연결하여 말을 제어하는데 가장 중요한 마장구(馬裝具)이다. 보통 재갈은 재갈쇠(銜), 재갈멈추개(鏡板), 고삐이음새(引手)로 구성된다. 재갈쇠(銜)는 마디 수에 따라 2연식과 3연식이 있고, 철봉의 형태에 따라 꼰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누어지는데, 삼국시대에는 대체로 2연식이 일반적이다. 고삐이음쇠(引手) 역시 철봉 수에 따라 1조선과 2조선으로 나뉘며 철봉형태에 따라 꼰 것과 꼬지 않은 것, 그리고 철봉 끝을 본체에 감은 것이 있는데, 중국 동북지방과 고구려 출토 재갈은 모두 2조선이나 남부지방에는 대체로 1조선이 수적으로 많다. 단지 5세기초, 인수외환이 삽자루 모양을 이룬 것 중에서는 2조선의 예가 많다.

고삐이음쇠의 형태에 따라서도 시기적, 공간적 변화가 있는데 삽자루 모양을 이룬 것이 4세기 전반에서 5세기 전반까지의 비교적 이른 시기에서 출토되며 중국 동북지방 및 고구려의 재갈이 이 계통에 속한다. 인수외환이 둥글고 곧게 뻗은 것이나 굽어진 것은 5세기 전반 이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재갈은 재갈멈추개의 종류에 따라 그 제어의 효능의 차이가 커 표비(표비), 판비(板비), 환판비(環板비), 원환비(圓環비)의 네 가지 형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표비(표비)는 재갈쇠(銜)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재갈멈추개의 형태가 봉상의 도구, 즉 표(표)를 끼워 넣은 것이다. 원래 표는 녹각을 사용하였으나 청동을 사용하고서도 계속 한쪽 끝이 굽은 형태를 유지하였으며 삼한시대와 삼국시대 초기 것들은 모두 표비이다.

삼한시대의 재갈은 목제(木製) 혹은 골제(骨製)의 표를 사용하여 철제의 재갈쇠 부분만 남아있거나 철제표의 경우는 대체로 ‘S’자형을 이룬다. 이러한 비는 기승용(騎乘用) 보다는 수레를 끄는 용도의 마구로 생각되며, 가장 이른 시기에 나타나는 대구 평리동(坪里洞)과 전 안계리(傳 安溪里) 출토품에서 수레부속구와 공반한 예도 있다. 이는 한(漢)을 통해서 한국에 전해진 알타이계 재갈(비)로, 2세기 이후가 되면 편편한 철판을 ‘S’자로 굽혀 고사리문양을 만드는 등 재지화하면서 의기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 이후 4세기대 이후가 되면 긴 인수를 채용하면서 말 위에서 양손을 자유롭게 놀리는 효과를 거두는 기승용의 실용마구로서 변화하게 된다

판비(板비)는 재갈멈추개가 판상으로 된 것으로 중앙에 구멍이 있어 여기에서 재갈쇠와 고삐이음새로 연결되며 재갈쇠 자체도 이 언저리에서 고정되어진다. 그 기능상 단지 말의 입술 양끝을 자극하는 정도로 말에 대한 제어력이 약하다. 이는 재갈멈추개에 가해진 다양한 문양과 금동(金銅), 은(銀) 등의 재질에서 흔히 의장용 재갈로 인식되고 있다.

환판비(環板비)는 재갈쇠와 고삐이음새가 연결되는 것이 판비와 같이 재갈멈추개의 중앙에서 이루어진다. 보통 단면이 약간 편평한 철대로서 원형이나 타원형의 둥근 테를 두르고 내부에 다시 철대를 가로질러 여기서 재갈 외환과 연결되도록 제작한 재갈이다.

원환비(圓環비)는 재갈멈추개가 1개의 독립된 고리로 되어있으며 여기에 재갈쇠나 고삐이음쇠 혹은 노는고리(遊環)로 연결된 재갈이다. 표비와의 구별은 고리가 재갈쇠에 붙은 것인가(표비), 아니면 재갈쇠의 바깥고리에 물린 것인가(圓環비)하는 차이로 관찰이 가능하며 삼국시대에서는 6세기대가 되어 나타난다.

재갈 세부명칭

재갈 세부명칭

참고문헌

  • 한국의 마구(이난영·김두철, 한국마사회, 1999년)

동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