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I

GPI

[ General Price Index ]

요약 총체적 물가변동을 정확히 파악할 목적으로 제시된 물가지수로, 소비자물가지수와 생산자물가지수에 반영되지 않는 부분을 포함시켜 계산한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에서 제시한 물가지수로, 종합물가지수(GPI; General Price Index)라는 의미이다. 물가지수란 물가의 변동을 알아볼 수 있는 중요한 경제지표로서 국가의 경제동향 분석과 경제정책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된다. 또, 장기적으로 환율의 적정수준을 결정하고, 명목가치가 아닌 실질가치를 추산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물가지수의 한 종류인 GPI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물가지수인 소비자물가지수(CPI;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와 생산자물가지수(PPI; 생산자가 생산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판매가격의 변동을 측정)로 잡히지 않는 부분을 포함시켜 경제전반의 총체적 물가변동을 정확히 파악할 목적으로 마련되었다. GPI에는 물류비용, 창고비용, 정부조달서비스, 사회간접자본 등의 가격변동이 반영되어 있다.

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