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일

유대일

[ 兪大逸 ]

요약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음보로 벼슬에 올라 외직으로 예산현감·면천군수·삼척부사 등을 지내고, 내직으로 동지중추부사·동지돈령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출생-사망 1572 ~ 1640
본관 기계(杞溪)
덕휴(德休)
용은거사(慵隱居士)
국적 한국
활동분야 정치

본관은 기계(杞溪)이다. 자는 덕휴(德休)이고, 호는 용은거사(慵隱居士)이다. 1594년 임진왜란 때 좌의정으로 해주에 있는 왕비를 호종하다가 객사한 유홍(兪泓)의 아들이자 인조반정에 참여하여 영의정에 추증된 유백증(兪伯曾)의 아버지이다. 이황(李滉)에게 학문을 배웠다. 과거에 급제하지는 못하였으나 1600년(선조 33) 음보로 안기도찰방(安奇道察訪)에 제수되었다.

이후 여러 벼슬을 거쳐 1618년 행호군으로 폐모론에 동의하였고, 이어 귀후서별제·예산현감·면천군수·삼척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다시 내직으로 돌아와 동지중추부사와 동지돈령부사 등을 지낸 후 영해부사로 나갔으나 정사를 잘못한다는 경상도암행어사 이경의(李景義)의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

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