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루구

알루구

[ Alghu , 阿鲁忽 ]

요약 차가타이한국의 제5대 칸(Khan). 아리크부카에 의하여 칸(Khan)에 올랐지만 제위 계승 전쟁에서는 아리크부카에게 반기를 들고 쿠빌라이와 동맹을 맺었다.
출생-사망 ? ~ 1266

아버지는 차가타이(Chagatai)의 아들 바이다르(Baidar)이며 칭기즈칸의 증손이다. 1260년 쿠빌라이(Kublai)와 아리크부카(Arik-Bukha) 사이의 몽골제국 제위 계승전쟁이 발발했을 때 스스로 대 칸(Great Khan)임을 주장하는 아리크부카는 차가타이 한국의 어린 칸 무바라크 샤(Mubarak Shah)를 물러나게 하고 알루구를 칸으로 임명하였다.

1261년 중앙아시아에서 알루구는 차가타이한국의 대부분과 과거 청장한국의 영토까지 장악하고 차가타이한국과 몽골제국 칸(Khan)이 공동 관리하던 (Samarkand)와 (Bukhara) 마저 장악하였다.

1262년 그는 아리크부카에게 반기를 들었다. 알루구는 대 칸의 총독 마스크드 베크(Mas'ud Beg) 와 오르키나(Orghina)의 지지를 확보하였다. 알루구의 반기로 아리크부카의 힘은 크게 줄어들어 결국 쿠빌라이 칸(Kublai Khan)에게 패배하고 말았다.

1263년 알루구는 쿠빌라이와의 동맹을 선언하고 오고타이한국의 카이두(Kaidu)를 공격하였다. 카이두는 그의 영토가 차가타이한국과 맞닿아 있고 아리크부카 편이었다는 이유에서 싸움을 건 것이었다. 카이두는 청장한국의 칸(Khan) 베르케(Berke)에게 손을 내밀어 물자와 군대의 지원을 받았다.

알루구는 처음에는 영토가 침공당하고 카이두와의 싸움에서 지기도 하였으나 나중에는 반격하여 승리를 거두었다. 1264년 제위 계승전쟁이 종결되고 쿠빌라이(K가 통일 (Khuriltai) 개최를 천명했을 때 알루구는 제일 먼저 참가를 표명했는데 쿠릴타이 참석 전 1266년 초 병사하였다. 알말리크(Almalig)에 안장되었다

알루구가 사망 뒤 차가타이한국에서는 쫓겨났던 무바라크 샤가 잠시 칸자리를 차지했다가 곧 바라크(Baraq)로 교체되었다.

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