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겸

이제겸

[ 李濟兼 ]

요약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와 율봉도찰방(栗峰道察訪)을 역임하였다. 이인좌의 난에 가담했다는 죄로 처벌되었으나 후에 무고임이 밝혀졌다.
출생-사망 1683 ~ 1742
본관 진성(眞城)
선경(善慶), 사달(士達)
두릉(杜陵), 창랑(滄浪), 녹은(鹿隱)
국적 조선
활동분야 관료, 교육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진성(眞城)이며 자 선경(善慶), 사달(士達), 호는 두릉(杜陵) 또는 창랑(滄浪), 녹은(鹿隱)이다. 중종 때 안동부사를 지낸 송재(松齋) 우(堣)의 7세손이며 양양부사를 지낸 나은(懶隱) 동표(東標)의 아들이다.

32세 때인 1714년(숙종 40) 갑오(甲午)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였으며 1724년에 천거로 동몽교관(童蒙敎官)이 되었다. 1725년(영조 1)에 다시 을사(乙巳) 증광시(增廣試)에 응시하여 합격한 후,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와 율봉도찰방(栗峰道察訪)을 역임하였다.

율봉도찰방으로 있을 때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났는데, 반란군 중 한 사람이 이제겸이 반란군에게 역마를 제공했다고 무고(誣告)하여 선천(宣川)으로 유배되었다. 유배에서 풀려난 뒤 녹동(鹿洞)으로 이거하여 제자들을 가르치는 일에 전념하였다. 59세 때인 1741년에 누명이 벗겨져 다시 벼슬이 주어졌으나 사양하고 나가지 않았다.

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