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찰산성지

첨찰산성지

[ 尖察山城址 ]

요약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와 고군면 고성리에 걸쳐 있는 첨찰산에 축조한 산성이다.
첨찰산

첨찰산

백제 때 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진도군에서 가장 높은 산인 첨찰산(尖察山, 485m)의 정상부와 동남쪽 해발고도 460m의 고지, 남쪽 해발고도 420m의 고지를 연결한 포곡식산성(包谷式山城; 성 내부에 계곡을 포용하고 있는 형태로, 능선을 따라 성벽을 축조한 산성)의 터이다.

성벽 길이는 약 1.5km이며, 30×50cm 크기의 판석형 막돌을 사용하여 성을 축조하였다. 현재 완전히 붕괴되어 있는 성벽의 유구(遺構; 옛날 토목건축의 구조와 양식을 알 수 있는 실마리가 되는 자취)로 보아 협축법(夾築法; 성의 안과 밖을 모두 돌로 쌓는 방법)을 사용하여 축조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 안쪽에 절터가 있고, 기와편 등의 유물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