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삼

이삼

[ 李森 ]

요약 조선 후기의 무신이다.
출생-사망 1677 ~ 1735

본관은 함평(咸平)이며, 자는 원백(遠伯)이다. 영조의 총애를 받아 백일헌(白日軒)이라는 호를 받았다. 1677년(숙종 30)에 함평군 이사길(李師吉)과 남양전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윤증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병조판서 김구(金構)가 이삼의 힘과 담략이 뛰어남을 보고 무과 응시를 권하였다. 1705년(숙종 31)에 무과에 급제하였다. 1713년 정주목사로 임명된 뒤 1717년 평안도병마절도사사·함경남도병마절도사사 등을 역임하였다. 군제개혁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며, 경종의 신임을 받아 수원부사·우포도대장·충청도병마절도사 등을 거쳐 1721년 총융사·한성부우윤, 1724년 어영대장을 지냈다. 정쟁에 연루되어 잠시 귀향하였으나 다시 훈련대장이 되었고, 이인좌의 난을 평정하여 분무공신 2등에 책록되고 함은군에 봉해졌다. 1728년에 한성부좌윤으로 임명되었고, 1729년에는 공조판서에 이르렀다. 1730년 6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한성부판윤에 임명되었다.

이삼이 향년 59세로 세상을 뜨자, 영조가 깊이 애도하여 철조와 철시를 명하고 우찬성 함은부원군(右贊成咸恩府院君)으로 추증하였다. 논산시 상월면 석종리 가재울마을에 묘소와 영당이 있다. 저서로 《관서절요(關西節要)》가 있다.

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