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국사 목조아미타삼존불상

안국사 목조아미타삼존불상

[ 安國寺 木造阿彌陀三尊佛像 ]

요약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상. 2003년 12월 26일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지정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2003년 12월 26일
관리단체 안국사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적상면 산성로 1050 (괴목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크기 아미타여래좌상 높이 67cm, 관음보살상 높이 63cm, 세지보살상 높이 61cm

3구의 불상으로 안국사 극락전에 봉안되어 있다. 가운데에 아미타여래좌상을 두고 관음보살(왼쪽)과 세지보살(오른쪽)이 협시하고 있다. 아미타여래좌상은 높이 67cm, 무릎 폭 43.5cm, 어깨 폭 30cm 규모로 움츠린 듯한 어깨에 허리가 약간 구부정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얼굴은 턱이 짧고 각이 져 있으며 눈은 가늘게 뜨고 입꼬리를 살짝 올리고 있다. 코는 오똑하며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게 새겨져 있다. 법의는 통견의로서 왼쪽 팔에서 흘러내린 소매자락이 대퇴부 쪽에서 발가락을 덮고 있다.

관음보살상은 높이 63cm, 무릎 폭 35.5cm, 어깨 폭 26cm 규모이다. 머리는 관을 얹을 수 있게 턱을 두어 상투처럼 머리를 묶어 올렸으며, 보관 아래쪽으로만 머리카락을 표현하였는데 귓바퀴를 감아 어깨 위로 흘러내리게 하였다. 손은 사실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옷주름도 자연스럽게 처리하였다.

세지보살상은 높이 61cm, 무릎 폭 36.5cm, 어깨 폭 24cm 규모로서, 손모양은 관음보살상과 대칭적이고 불의형(佛衣形) 법의를 걸치고 있다. 턱이 짧고 허리가 좀더 구부정한 것을 제외하면 얼굴 형태와 표정, 손 모양과 옷주름 등이 관음보살상과 매우 비슷하다. 정확한 조성연대는 알 수 없지만 17세기의 전형적인 불상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2003년 12월 26일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안국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