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사 대적전

갑사 대적전

[ 甲寺 大寂殿 ]

요약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갑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당. 1984년 1월 11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갑사 대적전

갑사 대적전

지정종목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1984년 1월 11일
관리단체 갑사
소재지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갑사 앞 계곡 건너편 원래의 금당지로 추정되는 곳에 있다. 대적광전이라고도 하며,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삼신불(석가모니불·아미타불·비로자나불)을 모시는 법당이다.

정면 3칸, 옆면 3칸의 팔작지붕 다포식(多包式) 건물로서, 장대석(長臺石)으로 쌓은 기단 위에 원형의 주좌를 음각한 덤벙주춧돌을 놓고 둥근 배흘림기둥을 세웠다. 중앙에 4분합문(分閤門)을 달고 좌우칸과 오른쪽 앞칸에는 쌍여닫이 띠살문을, 왼쪽 앞칸에는 외여닫이문을 닫았다. 건물 내부는 통칸으로 바닥에 널마루를 깔고 내고주(內高柱)를 세웠다. 고주 사이에는 후불벽(後佛壁)을 세우고 그 앞에 불단을 설치하여 아미타불·문수보살·보현보살을 봉안하였다.

지붕 가구(架構)는 고주 위에 동자기둥[童子柱]을 놓고 마루도리를 얹어 우물천장을 받쳐놓았다. 천장에는 연꽃무늬와 태극선 모양의 파문(巴文:태극무늬) 단청, 대들보에는 물고기, 앞쪽 창방과 평방에는 신선도와 개, 고양이를 그렸다. 조선 후기의 건축양식을 보여주는 건물로 1984년 1월 11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갑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참조항목

갑사, 중장리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갑사 대적전 공주 계룡면 갑사(甲寺)에 있는 불당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충남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계룡산 아래자락 사찰 갑사에 있는 조선후기 불당으로 갑사 앞 계곡 건너편에 위치한다. 대적전이 있는 이곳이 원래 대웅전이 있었던 금당지였다고 추정되고 있다.   갑사 대적전은 정면3칸, 측면3칸의 팔작지붕집으로 대적전 내에는 본존불인 아미타불과 좌우에 관음보살상, 대세지보살상으로 구성된 조선후기의 전형적인 아미타삼존불인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이 모셔져 있다. 갑사 대적광전이라고도 불리는 법당으로 대적전 주변에 놓여진 정교한 초석과 승탑, 철당간 등에서 갑사의 당시 규모와 면모를 엿볼 수 있으며 조선후기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는 건물이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