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몽찬

고몽찬

[ 高夢贊 ]

요약 조선 후기의 학자로 벼슬하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하여 성리학뿐 아니라 성문(星文), 지지(地誌),  율력(律曆), 산수(算數) 등 다방면에 통달하였다. 시문집 《금주집 錦洲集》이 전한다.
출생-사망 1793 ~ 1858
본관 개성(開城)
이수(理叟)
금주(錦洲)
국적 조선
활동분야 학문
주요저서 《금주집 錦洲集》

본관은 개성(開城)이며 자는 이수(理叟), 호는 금주(錦洲)이다. 현감을 지낸 인계(仁繼)의 후손으로 보관(補寬)의 아들이다. 문겸(文謙), 치겸(致謙), 숙겸(淑謙)의 세 아들을 두었다. 정필규(鄭必奎, 1760~1831)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였으나 과거가 공정하게 시행되지 못함을 알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성리학에 통달하였으며, 그 외에 성문(星文), 지지(地誌), 음양(陰陽), 복서(卜筮), 율력(律曆), 산수(算數) 등에도 막힘이 없었다. 그가 지은 《금주집 錦洲集》에는 군제, 전부(田賦), 공거(貢擧) 등 당시의 시무에 관한 글도 있다. 큰아들 문겸이 1892년(고종29)에 그가 쓴 글을 묶어 간행한《금주집 錦洲集》이 전한다.  

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