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스 와인

물리스 와인

[ Moulis Wine ]

요약 프랑스 보르도  메도크(Medoc) 지역의 와인 산지. 라벨에 마을이름을 표기하는 메도크의 6개 마을 중 왼쪽인 내륙에 위치한 마을이다.

프랑스 보르도(Bordeaux) 지역의 최고급 와인을 생산하는 소지역 산지로 보르도시 북서쪽, (Gironde R.) 하류에 남북으로 길게 80km에 걸쳐 넓게 조성된 와인 산지를 메도크(Medoc) 지역이라고 한다. 크게 바 메도크(Bas-Medoc)와 오 메도크(Haut-Medoc)로 나뉘며, 고급 와인을 생산하는 오 메도크 지역에서 와인 라벨에 오 메도크 대신 해당 마을 이름을 직접 표기할 수 있는 지역이 북쪽부터 생테스테프(Saint-Estephe), 포이약(Pauillac), 생쥘리앵(Saint-Julien), 리스트락(Listrac), 물리스(Moulis), 마고(Margaux) 등 6개 마을이다. 이 중 생테스테프, 포이약, 생쥘리앵, 마고 등 4개 마을은 메도크 지역 우안인 지롱드강 연안을 따라 위치하고 있으며 리스트락과 물리스는 메도크 지역 좌안인 강쪽이 아닌 내륙 쪽에 있다. 물리스는 리스트락의 바로 아래 인접해 있다. 이곳은 1급에서 5급까지의 그랑 크뤼(Grand Crul) 등급 샤토가 없고 다른 4개의 마을에 비해 지명도가 떨어지지만 최근 힘있는 바디감과 섬세한 아로마로 그 가치가 재조명 되고 있다.

물리스는 13세기부터 포도나무가 심어졌으며 마을 이름은 수많은 물레방아가 있었다는 의미인 프랑스어 풍차(Moulin)에서 유래했다. 소나무 숲이 강한 바람을 막아주어 포도가 제대로 숙성하기에 좋은 미세 기후가 형성되어 있으며 토양은 주로 자갈성 언덕들로 되어있고 언덕 사이사이 진흙이 많거나 석회질인 지역이 있다. 따라서 (Carbernet Sauvignon)과 (Merlot)가 동등한 비율로 심어져 있다. 동쪽에 인접한 지역에서 유명한 와인이 주로 생산된다.

레드와인 재배면적은 575ha, 수율은 4,500L/ha, 생산량은 316만L이다. 최소 알코올 농도는 10.5도이고 7~20년을 보관할 수 있으며 리스트락 와인에 비해 장기숙성형이다.

카베르네 소비뇽과 메를로를 주품종으로 블렌딩하는 물리스 와인은 섬세함, 힘, 복합미가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강하지 않고 원만하고 부드럽다.  물리스와인에는 11개의 CB~CBE급이 포함되어 있으며 ‘슬픔이여 안녕’이라는 수식어로 유명한 샤토 샤스 스플린(Château Chasse Spleen)이 이에 속한다.
 

참조항목

, , , , ,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