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국

이의국

[ 李義國 ]

요약 조선 말기의 문신으로 1888년(고종 25) 성균관 사마시에, 1890년(고종 27) 문과에 올라 승문원을 거쳐 규장각직각(奎章閣直閣)과 통정대부 비서감승(通政大夫秘書監丞)을 역임했다. 1910년 한일병합(韓日倂合) 이후 국운을 한탄하며 낙향하였다. 이후 학교를 신축하고 용흥강습소(龍興講習所)를 설립하여 후학을 기르는 데 힘썼다.
출생-사망 1867 ~ 1935
본관 연안(延安)
치인(致仁)
삼운(三雲)
국적 한국
활동분야 정치
출생지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후곡리(後谷里)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자는 치인(致仁), 호는 삼운(三雲)이다.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후곡리(後谷里) 출신으로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부원군(府院君) 이광정(李光庭)의 12세손이다.

1888년(고종 25) 성균관 사마시에, 1890년(고종 27) 문과에 올라 승문원을 거쳐 규장각직각(奎章閣直閣)과 통정대부 비서감승(通政大夫秘書監丞)을 역임했다. 삭주 군수에 제수되었으나 거절하고 부임하지 않았다. 1919년과 1926년에는 국장(國葬)에 참여하여 마지막 신절(臣節)을 다했다.

1910년 한일병합(韓日倂合) 이후 고향으로 돌아와 백의(白衣)하여 국운을 한탄하였다. 또한 육영에 뜻을 두어 학교를 신축하고 용흥강습소(龍興講習所)를 설립하여 신구학을 종합적으로 가르치며 후학을 기르는 데 힘썼다. 묘소는 청원군 문의면 후곡리에 있는 8대조 연릉군(延陵君) 선영(先塋) 아래에 있다.

참조항목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