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테스테프 와인

생테스테프 와인

[ Saint-Estephe Wine ]

요약 프랑스 보르도 메도크 지역의 와인 산지. 오 메도크(Haut-Medoc)지역에서 마을명을 라벨에 표기할 수 있는 6개의 마을 중 가장 북쪽에 있다. 5개의 그랑 크뤼(Grand Crul) 와인을 생산하고 타 마을에 비해 메를로 품종 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샤토 라퐁 로셰

샤토 라퐁 로셰

프랑스 보르도(Bordeaux) 지역의 북서쪽, 지롱드강 하류에 남북으로 길게 80km에 걸쳐 조성된 와인 산지를 메도크(Medoc) 지역이라고 한다. 메도크 지역은 바 메도크(Bas-Medoc)와 오 메도크(Haut-Medoc)로 분류되며, 대부분의 고급 메도크 와인이 생산되는 곳은 남부의 오 메도크 지역이다.

오 메도크 지역의 마을은 약 50개 마을(Commune:코뮌)이 있는데, 이 중 와인 라벨에 오 메도크 대신 해당 마을 이름을 직접 표기할 수 있는 지역이 생테스테프(Saint-Estephe), 포이약(Pauillac), 생쥘리앵(Saint-Julien), 리스트락(Listrac), 물리스(Moulis), 마고(Margaux) 등 6개 마을이며 생테스테프(Saint-Estephe)는 이 중 가장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생테스테프마을의 토질은 석회암과 이회암 위에 충적토와 자갈로 이루어져 있다. 상층토는 자갈로 되어 있지만 가장 기름진 곳이며, 하층토는 부분적으로 점토층이고 철이 풍부한 반층 위에 석회석으로 되어 있다. 원만한 경사를 이룬 곳으로 배수가 잘 된다. 1, 230ha의 포도원에서 688만L의 레드와인이 생산된다. 수율은 4,500L/ha이며 추출은 3주 정도 하고 오크통 숙성은 15~24개월 한다. 산도가 높고 타닌이 강항 투박한 성향이 있으며 비교적 느리게 숙성되는 와인이 생산된다.

(Carbernet Sauvignon)이 주 품종이고 (Merlot), 카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프티 베르도(Petit Verdot) 등의 보조품종이 재배된다. 재배된 포도를 블렌딩하여 조화시켜 와인을 만들고 메도크 지역의 다른 와인에 비하여 포도품종별 혼합에서 메를로의 양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최근 들어 메를로의 재배는 메도크 지역의 다른 와인과의 차별성 때문에 느는 추세이며 최소 알코올은 10.5도이다. 보통 10~20년간 장기 보관이 가능하고 빈티지가 좋은 해의 그랑 크뤼(Grand Crul) 와인은 그 이상도 가능하다.

메도크 지역 61개의 그랑 크뤼 와인 중 1등급인 프리미에 크뤼(Premiers Crus) 포도원은 없으며, 총 5개의 그랑 크뤼와인이 있다. 두지엠 크뤼(Deuxièmes Crus: 2등급 포도원) 와인으로는 샤토 코스 데스투넬(Château Cos d'Estournel), 샤토 몽로즈(Château Montrose)가 있으며 트르와지엠 크뤼(Troisièmes Crus: 3등급 포도원) 와인으로 샤토 칼롱 세귀르(Château Calon-Ségur)가 있다. 카트리엠 크뤼(Quatrièmes Crus: 4등급 포도원)로 샤토 라퐁 로셰(Château Lafon Rochet), 생키엠 크뤼(Cinquièmes Crus: 5등급 포도원)로 샤토 코스 라보리(Château Cos-Labory)가 있다.

참조항목

, , , , , , ,

카테고리

  • > > >

관련이미지

샤토 코스 데스투넬

샤토 코스 데스투넬 원산지는 프랑스 보르도 생테스테프, 제조사는 샤토 코스 데스투넬. 출처: 롯데주류bg 와인사업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