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 청절사

서천 청절사

[ 舒川 淸節祠 ]

요약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에 있는 조선시대의 사당. 2008년 4월 1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서천 청절사

서천 청절사

지정종목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2008년 4월 10일
소재지 충청남도 서천군 남당길 171 (비인면)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2008년 4월 1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으며, 충청남도 서천군 비인면 남당마을 동쪽의 통박골에 있다. 남당리는 일찍이 기계유씨(杞溪兪氏)가 정착하여 집성촌을 이룬 곳으로, 청절사에는 기계유씨 문중의 유기창(兪起昌)·유여림(兪汝霖)·유흥(兪泓)·유황(兪榥)·유계(兪棨) 등 5위(位)가 배향되어 있다. 1720년(숙종 46)년 창건된 뒤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며, 현존하는 사당은 1968년 복원된 것이다.

유기창은 연산군 때의 무신으로 좌의정 성준(成俊)이 갑자사화(甲子士禍)에 연루되어 죽임을 당할 때 그 일당으로 몰려 유배되었으며, 그의 아들인 유여림은 중종 때 예조판서를 지냈다. 유흥은 선조 때 정여립(鄭汝立)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광국공신(光國功臣) 1등에 녹훈되었다. 유황은 인조 때 배청파(排淸派)로 청나라의 미움을 사서 유배를 당하였으며 벼슬은 좌승지에 이르렀다. 유계는 예학(禮學)에 정통한 학자로 이름 높았으며, 현종 때 대사헌·이조참판 등을 지냈다.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서천 청절사 서천군의 기계유씨 5위를 모신 조선시대 사당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99호 충남 서천군 비인면 남당리에 있는 조선시대 사당으로 기계유씨 집성촌을 이루고 있는 남당마을에 위치한다. 1720년 창건된 후 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68년 복원되었다. 사당에는 기계유씨 문중의 유기창, 유여림, 유흥, 유황, 유계의 5위를 배향하고 있으며 주벽으로 모시고 있는 유기창은 연산군 때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던 인물이다.  가장 안쪽 정면3칸 측면2칸 맞배지붕의 사당 안에 5위의 위패가 모셔져 있으며 솟을삼문의 내삼문과 수직사, 외삼문이 위치하며 담장 밖 오른쪽 공간에는 정면3칸 재실이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