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 와인

레드 와인

[ Red Wine ]

요약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메를로(Merlot), 피노 누와(Pinot Noir), 시라(Syrah), 쉬라즈(Shiraz) 등 적포도를 원료로 하여 껍질과 씨, 알맹이를 모두 사용해 제조한 붉은 빛의 와인.
레드 와인

레드 와인

원어명 Vin rouge

와인은 색에 따라 레드와인(Red wine), 로제와인(Rose wine), 화이트 와인(White wine)으로 나뉘는데, 이 중 붉은색 계열 포도로 제조되는 와인으로 프랑스어로 뱅 후즈(Vin rouge)라고 한다.

제조과정은 줄기제거 및 파쇄->1차발효->압착->2차발효->정제->숙성->병입 과정으로 요약된다. 화이트 와인(White Wine)과 달리 껍질과 씨를 거르지 않고 제조되어 껍질과 씨에 포함된 타닌(Tannin)이 레드와인 특유의 떫은맛을 내고 껍질의 안토시아닌(Anthocyanin)으로 인해 적색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양조용 포도를 분쇄하여 25~30℃에서 발효시키면 껍질에 포함된 천연 효모, 혹은 배양된 이스트의 작용으로 포도당(Glucose, C6H12O6)이 에틸알코올(Ethyl alcohol, C2H5OH)로 분해되며, 압착 후 2차발효인 유산발효(Malolactic fermentation)를 거쳐 사과산(Malic acid)이 젖산(Lactic acid)으로 변해 산도가 감소되고 맛이 부드러워 진다. 그 후 여과를 거쳐 오크통을 비롯한 용기에서 숙성하고 병입 후 코르크로 마감을 하여 일정기간 숙성을 거친 뒤 출시된다.

대표적인 레드와인의 품종으로는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메를로(Merlot), 피노 누와(Pinot Noir), 시라(Syrah), 쉬라즈(Shiraz), 카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프티 베르도(Petit Verdot), 진판델(Zinfandel), 가메(Gamay), 말벡(Malbec), 네비올로(Nebbiolo), 그르나슈(Grenache), 산지오베제(Sangiovese) 등이 있다.

레드와인의 색을 보면 숙성 연도, 품질, 생산지 등을 알 수 있는데, 숙성할수록 색이 엷어지고 진자홍색에서 점차 루비색, 벽돌색, 황갈색을 띤다. 유리잔 가장자리가 연한 갈색일수록, 가운데부터 색의 농담 차이가 클수록 숙성했다는 의미이며 일반적으로 장기 숙성와인이라면 처음부터 색이 진해야 한다. 카베르네 소비뇽(Carbernet Sauvignon)품종의 와인은 색이 진하며 시라(Syrah), 쉬라즈(Syiraz), 프티 베르도(Petit Verdot)는 진한편, 네비올로(Nebbiolo), 그르나슈(Grenache), 피노누아(Pinot noir)는 엷은 편이다.

적정 시음 온도는 입안에서의 무게와 촉감에 따라 풀바디(Full-bodied) 16~19℃, 미디엄바디(Medium-bodied) 14~15℃, 라이트 바디(Light-bodied)는 12~13℃로 마시며, 일반적인 알코올 농도는 12~14%이다. 열량은 알코올 13% 전후의 드라이한 레드와인의 경우 750ml 한 병당 650kcal 정도이고 일반적으로 육류, 양념이 강한 요리와 잘 어울리나 각 와인의 특징에 따라 꼭 정해진 것은 아니며, 화이트 와인보다 묵직한 느낌을 주므로 나중에 마시는 것이 좋다. 레드 와인의 잔은 크고 오목해 와인이 혀의 안쪽 부분에 떨어져 떫고 텁텁한 맛을 잘 볼 수 있도록 하며 레드 와인병은 숙성으로 인하여 생성되는 침전물이 아래쪽에 쌓이도록 병 하단부에 오목한 부분이 있다.

프랑스인들이 고지방식을 하고도 레드와인의 섭취로 심장병 사망률이 낮다는 보고에서 비롯된‘프렌치 페러독스(French Paradox)’이후, 레드와인의 생리활성물질이 연구되었으며 타닌(Tannin)의 구성요소인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은 천연 항산화 작용, 심혈관질환 예방의 작용을 하며, (Resveratrol)은 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SIRT1 유전자를 활성화, 생명을 연장하고 안토시아닌(Anthocyanin)은 항혈전작용, 비만억제, 대사증후군 예방, 시력보호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조항목

, , , , , ,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