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6년 노벨상

1946년 노벨상

[ Nobel Prizes 1946 ]

요약 1946년 12월 10일 스웨덴 스톡홀름(평화상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수상식이 열렸고, 화학상 3명, 문학상 1명, 평화상 2명, 물리학상 1명, 생리학·의학상 1명, 총 8명이 수상했다.
화학상 제임스 섬너(미국), 존 노스럽(미국), 웬들 스탠리(미국)
문학상 헤르만 헤세(스위스)
평화상 에밀리 그린 볼치(미국), 존 R. 모트(미국)
물리학상 퍼시 브리지먼(미국)
생리학·의학상 허먼 J. 멀러(미국)

요소를 분해하는 우레아제의 결정화에 성공하여 최초로 효소를 순수한 결정 단백질로 추출한 미국인 제임스 섬너와 펩신·트립신·트립시노겐·키모트립신·키모트립시노겐 등 각종 프로테아제를 정제하여 결정화하는 데 성공하여 효소의 결정화를 일반화한 미국인 존 하워드 노스럽과 웬들 스탠리가 화학상을 받았다.

20세기의 문명비판서라 할 수 있는 미래소설 《유리알유희 Das Glasperlenspiel》(1943)로 스위스의 헤르만 헤세가 문학상을 받았다.

평화상은 평화운동에 이바지한 공로로, YMCA 운동, 그리스도교 학생 운동, 교회일치운동(에큐머니즘:ecumenism)의 세계적인 지도자인 미국인 존 롤리 모트와 제네바의 '국제여성평화 및 자유동맹'의 국제관계 업무를 맡아 국제여성연맹 창립에 크게 이바지한 미국인 에밀리 그린 볼치가 받았다.

초고압 압축기를 제작하고 초고압에서의 여러 가지 기술을 개발한 미국인 퍼시 브리지먼이 물리학상을 받았다.

마지막으로, X선에 의한 인공 돌연변이의 유발 효소를 결정화한 공로로 미국인 허먼 멀러가 생리학·의학상을 받았다.

참조항목

, , , , , , , , ,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