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달수

송달수

[ 宋達洙 ]

요약 조선 후기의 문신이다. 학행으로 추천을 받아 지평·승지 등을 역임하였으며, 예학과 성리학에 뛰어났다.
출생-사망 1808 ~ 1858
본관 은진(恩津)
수종재(守宗齋)
국적 한국
활동분야 정치
주요저서 《수종재집》

본관은 은진(恩津)이고, 호는 수종재(守宗齋)이다. 송시열(宋時烈)의 8대손이며, 송치규(宋穉圭)에게 학문을 배웠다. 1840년(헌종 6) 학행으로 충청도관찰사 김영순(金英淳)의 추천을 받아 나라에서 여러 번 벼슬을 내렸으나 사양하다가 1847년(헌종 13) 6품직의 벼슬을 받았다.

1852년(철종 3) 경연관(經筵官)을 거쳐 사헌부 지평에 제수되고, 1854년(철종 5) 승지에 임명되었다. 후에 부호군(副護軍)에 오르고 이조참의를 역임하였다. 예학과 성리학에 뛰어났으며, 낙론(洛論)을 지지하여 인물성동론(人物性同論)을 주장하였다. 학문이 깊고 명망이 있어 그가 죽자 사림(士林)이 크게 애석해 하였다. 문집인 《수종재집》이 있다.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