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도경

탁도경

[ 卓都卿 ]

요약 고려 공민왕 때의 반역자이다. 1356년 쌍성총관부 천호로 있던 중 고려의 공격을 받자 여진지역으로 달아났다.
출생-사망 ? ~ 1362
국적 한국
활동분야 정치

1258년(고종 45) 몽고군이 쳐들어왔을 때 조휘(趙暉)와 함께 철령(鐵嶺) 이북의 땅을 바쳐 몽고에 항복하고, 몽고가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를 설치하자 천호(千戶)에 임명된 탁청(卓靑)의 후손이다.

그도 선대의 직을 이어받아 천호로 있었는데, 1356년( 5) 원나라의 세력이 약해진 틈을 타서 동북면병마사 유인우(柳仁雨) 등이 쌍성을 공격하자 역시 조휘의 후손인 총관(摠管) 조소생(趙小生)과 함께 저항하였다. 그러나 쌍성에서 명망이 있던 조돈(趙暾)이 탈출하여 고려군에 협력하고 쌍성의 주민들도 고려에 귀순하자 성을 버리고 여진지역으로 도망하였다.

뒤에 고려와 원나라 사이를 이간하다가 1358년에는 조소생과 함께 해양(海陽:길주)을 근거로 세력을 키웠다. 1362년 원나라의 반적(叛賊) 나하추(納哈出)를 끌어들여 수만 명의 군대를 이끌고 고려를 침범하였다가 홍원(洪原)에서 이성계(李成桂)에게 패하여 달아났다. 그해 여진의 다루가치(達魯花赤)인 소음산총관(所音山摠管) 불화(不花)에게 조소생과 함께 살해되었다.

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