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등사 함허당 득통탑 및 석등

현등사 함허당 득통탑 및 석등

[ Hamheodang Deuktong Pagoda and Stone Lantern of Hyeondeungsa Temple in Gapyeong , 懸燈寺 涵虛堂 得通塔 및 石燈 ]

요약 경기도 가평군의 현등사에 있는 부도(浮屠)와 석등. 2004년 11월 29일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현등사 함허당 득통탑 및 석등

현등사 함허당 득통탑 및 석등

지정종목 경기도 유형문화유산
지정일 2004년 11월 29일
소장 대한불교조계종 현등사
관리단체 현등사주지
소재지 경기도 가평군 현등사길 34 (조종면, 현등사)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크기 득통탑 높이 266㎝, 석등 높이 120㎝

2004년 11월 29일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부도와 그에 부속된 석등으로서 경기도 가평군의 현등사 경내에서 서남쪽으로 떨어진 동암에 있다. 득통탑은 팔각형당형(八角形堂型) 부도로서 전체 높이는 266㎝이다. 기단부는 8각형의 지대석(址臺石) 위에 8각형 면석(面石)을 2층으로 올려놓았다. 2층 면석 윗면에는 항아리 받침 모양으로 각출하여 원구형 탑신(塔身)을 올려놓았다. 탑신에 세로로 '함허당득통(涵虛堂得通)'이라고 전서로 음각되어 있어 조선 초기의 승려 함허(1376~1433)의 부도임을 알 수 있다. 함허는 당호(堂號)이고, 법명은 기화(己和)이다.

득통탑 앞에는 네모난 소형 석등(石燈)이 있다. 상륜부만 결실되어 있을 뿐 나머지 부분은 온전히 보존된 편이며, 높이는 120㎝이다. 하대석(下臺石)에서 화사부(火舍部)까지 하나의 석재로 만들어졌는데, 형태상 고려시대의 사주형 화사(四柱形 火舍) 계통을 전승한 양식이 엿보인다. 지붕돌은 네모난 사추형(四錐形)으로 경사가 심하다. 부도 앞에 석등을 배치한 예는 고려 말에서 조선 초의 불탑에서 찾아볼 수 있는 구조이며, 석등은 조선시대 능묘에 장식된 장명등(長明燈)과 흡사하다.

참조항목

현등사, 운악리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현등사 함허당 득통탑 및 석등 가평군의 현등사에 있는 사리탑과 석등 경기도 유형문화재 경기도 가평군 조종면의 현등사에 있는 함허대사의 사리탑(부도탑)과 그에 부속된 석등으로 1411년 중창되었다. 현등사 경내에서 약간 떨어져 있는 서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득통탑은 팔각원당형으로 전체 높이는 266㎝이며 기단부는 8각형의 지대석 위에 8각형 면석이 2층으로 올려져 있다. 2층 면석 윗면에는 항아리 받침 모양으로 각출하여 원구형 탑신이 올려져있다. 득통탑 앞의 사각 석등은 높이 120㎝의 매우 작은 규모로 하대석에서 불을 밝히는 화사부까지 하나의 석재로 만들어졌으며 지붕돌은 경사가 심한 네모난 사추형이다. 왕릉 앞에 장식된 장명등과 유사하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