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종대왕태봉

중종대왕태봉

[ 中宗大王胎封 ]

요약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상색리에 있는 조선 중종의 태실(胎室). 1986년 6월 19일 가평군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중종대왕태봉

중종대왕태봉

지정종목 향토문화유산
지정일 1986년 6월 19일
소재지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상색리 산310
시대 조선시대
종류/분류 석조

1986년 6월 19일 가평군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조선 중종(1488~1544)은 성종의 둘째 아들로 연산군의 이복동생이며, 어머니는 정현왕후이다. 태실은 가평현(加平縣)에 있었는데, 왕위에 오른 지 2년째 되던 해인 1507년 가평현을 군(郡)으로 승격하고 태실에 돌난간을 설치하는 등 왕의 태실로서 위의를 갖추었다. 일제강점기인 1929년 이왕직(李王職)에서 전국에 산재한 태실 54기를 한곳에 모아 관리한다는 방침에 따라 경기도 고양시 서삼릉으로 이봉되었다.

1982년 이곳에서 석함과 석조물들이 발견되었는데, 이들을 수습하여 향토유적으로 지정한 뒤 현재의 모습으로 정비하였다. 중앙에는 중종이 5세 때 세워진 작은 태실비(아기비)를 보수하여 세웠는데, 비신(碑身)은 높이 75.5㎝, 너비 48㎝, 두께 19㎝이고, 지붕돌의 높이는 50㎝이다. 그 옆에 즉위한 뒤 가봉한 태실비를 세웠는데, 비신의 높이는 중간 부분이 없어져서 보충한 52㎝를 포함하여 116㎝, 너비 53㎝, 두께 21.5㎝이며, 지붕돌은 높이 45.5㎝이다. 이밖에 머리가 없어진 거북비석과 새 돌로 만들어 덧붙인 받침돌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태실 안에 있던 태항아리와 태지석(胎誌石)은 국립고궁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참조항목

중종, 상색리

카테고리

  • > > >
  • > > >

관련동영상

중종대왕태봉 가평에 있는 조선 임금 중종의 태봉 가평군 향토유적 경기도 가평군에 있는 조선 제11대 왕 중종의 태(胎)를 모신 곳으로 왕실 아기가 태어나면 태를 봉안하고 표석이 있는 태실을 세우는데 이후 왕으로 즉위하면 내부와 외부 장식을 바꾼 태봉으로 변경된다. 중앙에는 중종이 5세 때 세운 작은 태실비(아기비)가 비신 높이 75.5㎝, 너비 48㎝, 지붕돌 높이 50㎝로 보수하여 세워졌으며 그 옆에는 왕으로 즉위한 뒤 가봉한 태실비가 세워져있다. 태실비는 중간 부분이 없어져 보충한 부분을 포함한 비신 높이 116㎝, 너비 53㎝, 지붕돌 높이 45.5㎝이며 비신 아래에는 머리가 없어진 거북비석과 새 돌로 만들어 덧붙인 받침돌이 있다. 태실은 당시 가평현에 세웠는데 중종이 왕위에 오른 후 2년째 되던 해(1507년)에 가평현을 군(郡)으로 승격시키고 태실에 돌난간을 설치하는 등 왕의 태실로서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