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농악

평택농악

[ Pyeongtaek Nongak (Farmers' Performance of Pyeongtaek) , 平澤農樂 ]

요약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평궁리를 중심으로 전해오는 웃다리농악. 1985년 12월 1일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평택농악 전수관

평택농악 전수관

지정종목 국가무형유산
지정일 1985년 12월 1일
관리단체 (사)국가무형유산 평택농악보존회
소재지 경기도 평택시
기예능보유자 김용래(상쇠, 버꾸, 무동놀이)
종류/분류 무형유산 / 전통 공연·예술 / 음악

1985년 12월 1일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평궁리를 중심으로 충청도와 경기도 지역 전문 연희패의 웃다리 농악과 평궁리 두레농악이 결합된 형태의 농악이다. 두레농악은 정초나 대보름에 지신밟기를 하거나 농사철에 두레풍물을 치던 놀이이다.

제1공화국 시절 이승만대통령의 생일을 기념하여 개최된 농악경연대회에 참가하면서 '평택농악(平澤農樂)'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후 1980년 최은창을 상쇠로 본격적인 평택 농악이 만들어졌고, 실력있는 명인들과 평궁리 두레농악패를 중심으로 전국민속예술대회에 참가, 대통령상을 수상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이를 계기로 1985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두레농악에서 하던 지신밟기, 두레굿과 더불어 난장굿, 절걸립, 촌걸립 등 걸립패에서 하던 전문연희패적 요소가 함께 나타나는 형태이다. 이는 최은창이 전문 연회패에서 활동했고 초기 구성원들이 서울 및 경기남부, 천안, 공주 지역에 흩어진 명인들로 구성되어 전문연희패적 성격이 더 강하기 때문이다. 즉, 평택농악은 평궁리 마을의 두레농악에 기원을 두고 있지만 평택의 두레농악을 대표한다기보다는 경기 충청지방 전문연희패의 가락과 판제를 계승한 웃다리 농악이라고 할 수 있다.

가락의 종류가 많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주가 특징이다. 또한 가락이 빠르고 힘차며 맺고 끊음이 분명하다. 모두 9~10종류의 가락이 사용되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은 마당일채, 쩍쩍이, 자진가락, 더드레기, 삼채, 좌우치기, 양산더드레기, 연풍대, 인사굿의 가락이 사용되는 길군악 칠채이다.

30명 정도로 구성되는 판굿은 진풀이가 다양하고 화려하며 생동감이 넘친다. 판굿은 지신밟기나 걸립을 하면서 집집마다 마당씻이로 하던 풍물놀이가 발전한 것으로 각종 놀이와 진풀이를 순서대로 짜서 기예를 선보이는 자리이다. 평택농악의 판굿에서는 당산벌림대형과 무동놀이가 가장 특징적이다. 특히, 오무동의 동거리와 곡마단은 난이도와 화려함에서 수준 높은 기예를 보여준다.   

상쇠로서 최은창이 최초로 예능보유자가 되었으며, 이어 상법고의 이돌천, 법고·사물·무동놀이의 김용래가 기능보유자로 지정되었다. 국가무형유산 지정 이후 '평택농악보존회'를 만들고 평택농악전수회관을 건립하여 평택농악을 보존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꾸준히 강습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각종 국제행사 등 외부 초청공연에도 참여한다.

역참조항목

평택농악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