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양우

이양우

[ 李良祐 ]

요약 고려말·조선초의 문신이다. 고려 말기에 사복정(司僕正)으로 벼슬에 나가 1412년 완원부원군(完原府院君)에 봉해진 후 품계가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에 이르렀다.
이양우 선생 묘

이양우 선생 묘

본관 전주(全州)
시호 안소(安昭)
국적 한국
활동분야 정치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완풍대군(完豊大君) 이원계(李元桂)의 아들이며 태조 이성계의 조카이다. 고려 말기에 사복정(司僕正)으로 벼슬에 나갔다. 1402년(태조 7) 제1차 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定社功臣) 2등으로 영안군(寧安君)에 봉해졌으며 의정부 찬성사가 되었다. 1408년(태종 8) 사은사(謝恩使)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1412년(태종 12) 완원부원군(完原府院君)에 봉해진 후 품계가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에 이르렀다. 시호는 안소(安昭)이다.

참조항목

카테고리

  • > > >
  • > > >